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트럼프 당선 1년…美 증시 수익률 '역대 3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 1년…美 증시 수익률 '역대 3위'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트럼프 당선 1년…美 증시 수익률 '역대 3위'

CNBC "투자자, 감세 및 규제완화 주목"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미국 증시는 지난해 '11·8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로 1년 동안 거침없이 상승했다.

주가를 끌어올린 원동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은 제쳐놓더라도, 가파른 랠리라는 사실 자체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분위기다.

미 CNBC 방송은 오는 8일(현지시간) 대선 1주년을 맞아 역대 정권 초반(250거래일 기준)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 움직임을 비교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1년 성적표'는 역대 3번째로 양호한 편이다.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인 적은 1960년대 초반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절이었다. 당시 S&P 500지수는 대선 이후로 26.5% 상승했다. 정권교체에 성공한 케네디 행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맞물려 주가지수는 치솟았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무렵까지 강세를 이어갔다.

'아버지 부시'로 불리는 조지 H.W. 부시 대통령이 당선된 1988년 11월 대선 이후로도 22.7% 올랐다. 1987년 이른바 '블랙 먼데이'(Black Monday)로 주가지수가 폭락한 탓에 기술적으로 반등한 측면도 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11·8 대선' 이후로 21.2% 상승률을 기록했다.

CNBC 방송은 "1952년 당선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부터 모두 12명의 전·현직 대통령 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증시 성적'은 세 번째"라고 전했다.

반면 증시 수익률이 가장 낮았던 시절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으로, 1976년 당선되고 나서 1년간 S&P 지수가 10.2% 하락했다.

증시의 움직임은 대다수 연금생활자의 소득을 비롯해 유권자들의 표심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통령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CNBC 방송은 "정권 초반에는 대체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증시 랠리가 이어지곤 하지만, 4년 임기 전체를 놓고 본다면 얘기가 달라진다"면서 "현재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감세와 규제 완화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