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8.33

  • 3.94
  • 0.14%
코스닥

841.84

  • 0.15
  • 0.02%
1/3

인하대 '공룡 박사' 국제학술지에 논문 3편 잇따라 발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인하대 '공룡 박사' 국제학술지에 논문 3편 잇따라 발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인하대 '공룡 박사' 국제학술지에 논문 3편 잇따라 발표





(인천=연합뉴스) 정광훈 기자 = 인하대 재학생이 연구 발표한 공룡 관련 논문 3편이 최근 국제학술지에 잇따라 게재돼 화제다.

2일 인하대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2학년 윤찬규(21) 씨의 논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어느 대륙에서 기원했는지에 대한 고찰'이 올해 4월 '고생물학 저널(Journal of Paleontological Sciences)' 7권에 실렸다.

이어 7월에는 '기존의 동정에 오류가 있는 공룡 화석에 대한 재동정 작업' 논문이 '동물학·생명과학 연구 저널(Journal of Zoological and Bioscience Research) 2017'에 게재됐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말에는 윤 씨의 공룡 관련 다른 논문 '초기 티라노사우루스류의 화석 기록 분포를 통해 기원을 추적하는 고찰'이 폴란드의 지질학·고생물학 저널인 'Volumina Jurassia' 14호 1권에 실렸다.

인하대는 윤 씨가 우리나라에서 아직 불모지에 가까운 분야를 연구하면서 지도교수의 도움 없이 단독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에는 공룡을 연구하는 학과가 있는 대학이 매우 드물고 관련 연구를 하는 교수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윤 씨가 지난 7월 발표한 논문은 분류학적 위치가 불분명한 '라엘랍스 마크로푸스'를 다루고 있다. 라엘랍스 마크로푸스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의 드립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돼 있었지만, 여러 증명 과정을 거쳐 드립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될 수 없다는 것을 재설정했다.

또 지난 4월 '고생물학 저널'에 발표한 논문은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북미에서 발생해 진화했는지, 아니면 아시아에서 기원했는지를 놓고 벌여온 오랜 논란을 다루면서 지금까지 나온 계통발생학적 분석과 화석 기록을 분석해 아시아에서 시작됐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윤 씨는 이미 발표한 논문 외에도 수각류의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 연구를 진행해 공룡 관련 논문을 계속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윤 씨는 "국문으로 된 자료가 많지 않아 외국어로 된 자료를 참고하다 보니 지질학, 해부학 등의 용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외국 학자들에게 자문하기도 했다"며 "공룡의 진화와 분류, 생태에 관한 공부를 계속해 고생물뿐 아니라 우리나라 과학 전반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공룡 박사가 되겠다"고 말했다.

bar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