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64.63

  • 1.12
  • 0.04%
코스닥

733.52

  • 9.79
  • 1.32%
1/3

"방한 트럼프, 대북 최대압박 국제공조 촉구"…DMZ 방문 안한다(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방한 트럼프, 대북 최대압박 국제공조 촉구"…DMZ 방문 안한다(종합)

방한시 캠프 험프리스 방문→文대통령 정상회담·만찬→국회연설→국립묘지 참배

美고위관계자 "양국정상 FTA 등 평평한 운동장 위한 공정무역 노력키로"

트럼프 대북압박 공조 메시지 던지며 FTA 개정 강력히 압박할 듯

(워싱턴=연합뉴스) 이승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7~8일 한국 방문 기간 한·미 동맹의 중요성과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공조를 강조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신속한 개정도 주장할 전망이다.

미 정부 고위관계자는 31일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달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 전화브리핑에서 방한 시 트럼프 대통령은 국회연설을 통해 북핵 위협에 맞서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최대의 압박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던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7일 방한 첫 공식 일정으로 경기도 평택의 주한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하고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및 국빈만찬을 소화하는 데 이어 8일에는 국회연설과 국립묘지 참배를 한 뒤 다음 행선지인 베이징으로 출국한다.

하지만 성사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던 비무장지대(DMZ) 방문은 일정상 이유로 결국 제외됐다.

이러한 일정에 비춰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치의 초긴장 국면에서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DMZ 방문을 포기하는 대신 양국 동맹과 방위 공여를 상징하는 주한미군기지를 방문하고, 국회를 찾아 강력한 대북압박 공조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으로 방한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이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의 대북 대화론을 '시간 낭비'로 규정한 것에 대해 "대통령은 외교가 시간 낭비라고 트윗을 한 게 아니라 북한과 '직접대화'가 시간 낭비라고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는 다른 나라들이 북한과의 관계를 격하하도록 하는 등 여전히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외교 작전은 계속된다"면서도 "북한 정권의 직접적 행동이 없다고 예측 가능한 이 시점에서 북한과의 직접대화는 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초기에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지만, 북한은 한국과 미국, 심지어 중국까지 세계 어느 나라와도 실질적 대화를 할 의향을 전혀 보이지 않아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시 경제가 핵심적인 논의 분야"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이미 FTA에 관한 우려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해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는 공정무역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DMZ를 찾지 않기로 한 데 대해 "대통령은 일정상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DMZ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며 "군부대를 방문하는 것이 문 대통령의 초청과 이 중대한 동맹 관계의 부담을 나누는 한국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측면에서 낫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캠프 험프리스 방문은 한국 정부에 의한 부담 공유의 훌륭한 사례"라며 "한국은 이 기지를 짓고 (미군) 가족들을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더 많은 막대한 비용을 부담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소수의 (미국) 역대 대통령들만 DMZ를 방문했다. 절반에 못 미친다"면서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이 지난주에 DMZ에 갔고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갔다. 휴전선 방문은 약간 상투적인 것이 돼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어떤 (미국) 대통령도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캠프 험프리스는 지난 7월 11일 공식 개관하며 '평택시대'를 열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은 1991년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이후 가장 기간이 길고,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이후 가장 많은 아시아 나라들을 방문하는 것이라고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다.

lesl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