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1.85

  • 22.15
  • 0.9%
코스닥

670.94

  • 6.21
  • 0.92%
1/3

韓中 내달초 APEC서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12월 訪中' 촉각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韓中 내달초 APEC서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12월 訪中' 촉각

한·미, 미·중 정상회담 이어 APEC 회동 성사땐 관계개선 '훈풍'

사드갈등 순조롭게 풀릴 땐 시진핑 APEC서 文대통령에 방중 초청할 듯

시진핑, 집권2기 출범 계기 주변국 상대 '관계 재설정' 행보 주목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 '사드 갈등'으로 잔뜩 경색됐던 한·중 정상외교가 조심스럽게 '전환점'을 맞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5일 폐막한 19차 공산당 대회를 통해 '절대 권력' 체제를 구축한 것이 계기가 되고 있다. 집권 2기를 시작한 중국이 주변국을 상대로 새로운 외교행보를 전개할 가능성이 높고, 이 과정에서 한·중 관계 재정립을 위한 외교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특히 동북아 역내 질서를 이끄는 G2(주요 2개국), 즉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대립'에서 '협력'을 지향하는 쪽으로 흐르면서 대화와 소통 창구가 막혀있던 한·중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다음달 3~10일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중·일 순방과 10~11일 베트남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이 같은 관계 변화를 끌어낼 효과적 외교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동북아 순방기간 한·미, 미·중 정상회담이 열리고 곧 이어지는 APEC 정상회의에서 한·중 정상회담이 개최될 경우 한국을 대하는 중국의 태도를 바꿔놓을 수 있는 최적의 '외교적 배열'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다.

특히 트럼프 방한은 관계개선을 '예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렛대가 될 것이라는게 외교소식통들의 인식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 사드보복 문제를 설명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토대로 시 주석에게 이해를 구하고 설득하는 시나리오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미 정부는 중국의 정책이 얼마나 부당한 것인지 중국에 솔직하게 설명했다"면서 "문 대통령이 (사드 배치에) 명확하고 단호한 결정을 한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런 흐름이 순조롭게 만들어진 상황에서 APEC을 무대로 한·중 정상이 만난다면 의미있는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경우 사드 문제를 포함해 양국관계 발전방향을 담은 공동성명 또는 합의문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새로운 대국(大國)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려는 시 주석으로서도 한·중관계의 최대 장애물인 사드 갈등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종의 '출구전략'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맥락에서 당초 실현 여부가 불투명하던 APEC 계기 한·중 정상회담은 성사되는 쪽으로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당 대회를 마무리한 중국은 이제 본격적인 외교행보의 시작점에 있다"며 "양국 정상이 APEC에서 만남을 갖도록 지금 여러가지 방면으로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시 주석에게 보낸 축전에서 "가까운 시일내 시 주석과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

주목할 점은 APEC에서 한·중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이는 문 대통령의 방중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가 될 가능성이다. 이 자리에서 사드 갈등이 접접을 찾을 경우 시 주석은 자연스럽게 가까운 시일 내에 중국을 방문해달라는 초청의사를 문 대통령에게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문 대통령은 12월 중으로 중국 베이징(北京)을 방문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문 대통령이 방중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다면 내년 2월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에 시 주석을 초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의 방중이 성사된다면 일본이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온 한·중·일 정상회의의 재개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11월 서울 6차 회의 이후 중단됐던 한·중·일 정상회의가 성사된다면 이 역시 12월 중에 도쿄(東京)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시진핑 집권2기 출범으로 한반도 주변 외교가 급류를 탈 조짐을 보이면서 보다 창의적이고 치밀한 '정상외교 전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rh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