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생체 독성 낮은 치료법 제시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생체 내 일산화질소를 제어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김원종 학연연구위원(포스텍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일산화질소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하이드로젤을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11/AKR20171011092200063_02_i.jpg)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세포가 신체의 관절 부위를 공격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들이 관절의 연골과 인대, 뼈를 파괴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어 치료가 아닌 병증 완화에만 의존하고 있다.
특히 기존 시판 중인 관절염 치료제는 피부 발진, 식욕 감퇴, 복부 통증, 간기능 이상 등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생체 독성이 낮은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부작용이 거의 없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했다.
생체 내 일산화질소는 혈관 확장, 세포 사멸, 면역 조절 등의 기능을 하지만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과하게 생성되면 자가면역질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연구팀은 관절염 주변의 일산화질소를 인식해 선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이드로젤을 개발해 이런 문제점을 해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11/AKR20171011092200063_01_i.jpg)
하이드로젤이 염증이 심한 부분의 활막액(관절 사이에 차 있는 액체)을 다량으로 흡수하면서 동시에 약물을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일산화질소에 민감하게 반응해 잘 끊어지는 가교제를 합성, 이 가교제가 들어간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가스나 용액 속에 있는 일산화질소를 포집하는 데 성공했다.
일산화질소가 가교제를 끊어 분자들 사이가 느슨해져 벌어지면 이 틈 사이로 액체가 유입되면서 하이드로젤이 부풀어 오르는 원리이다.
실제 대식세포(면역세포)에 하이드로젤을 주입한 결과, 하이드로젤이 일산화질소와 만난 뒤 틈이 벌어지면서 유입된 물로 인해 질량이 3배 이상 증가했다.
여기에 약물을 넣어 병변에 주입하면 활막액이 하이드로젤 내부로 들어오면서 약물을 밀어내 관절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김원종 학연연구위원은 "현재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실제 류마티스 관절염에 걸린 쥐를 대상으로 효과를 입증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11/AKR20171011092200063_03_i.jpg)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 이날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