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트럼프 석 달 만의 정상회담…'최우방' 신뢰 구축
취임 후 5차례 통화 이어 한·미·일 회동까지 4번째 만남
대북 제재 강화 '공감대'…'군사옵션' 카드 놓고 이견도
(뉴욕=연합뉴스) 노효동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두 번째로 정상회담을 함으로써 최우방으로서 양국 간 신뢰관계를 더욱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한·미 공조가 더욱 중요해진 상황에서 빈번한 소통과 교류를 통해 진정한 동맹의 면모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2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에서 잇따른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지난 6월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지 석 달 만에 다시금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다.
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까지 포함해 3자 회동을 한 데 이어 이날 뉴욕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까지 포함하면 취임 다섯 달도 되지 않아 네 차례나 만나는 셈이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 간 회동 외에도 북한의 도발이 발생했을 때를 비롯해 총 다섯 번의 정상통화도 나눈 바 있어 어느 나라 정상보다 더 자주 트럼프 대통령과 소통해 왔다.
그동안 여러 계기와 형태로 최우방인 미국과 소통해 온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대목이다.
한반도 안보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미국의 역할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는 데다 역으로 한·미간 공조에 균열이 생긴다면 '북핵 리스크'에 기민한 대응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북한이 갈수록 도발의 수위를 높이면서 전통적 우방 관계인 한·미·일을 넘어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압박의 필요성에 공감해 가는 상황에서 한·미의 일치된 견해는 제재의 당위성을 설득하는 데도 필수적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할 때까지 강도 높고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해 트럼프 대통령과 기존에 확인해 온 북핵 문제 해결 기조를 재차 상기시켰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넘어 군사옵션 '카드'를 실행에 옮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긴장의 수위를 높이는 점은 향후 한·미 관계에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 한다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은 없다"고 말했다.
중요한 차이는 문 대통령이 생각하는 '강력한 제재와 압박' 개념에 군사적 옵션은 들어있지 않다는 점이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우리의 모든 노력은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군사적 충돌로 평화가 파괴되는 일이 없게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발언만 놓고 보면 트럼프의 '완전파괴' 발언과는 정확하게 배치되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유엔 동포간담회에서 "한미의 입장이 완벽하게 같을 순 없으나 동맹은 철석같다"면서 한·미 동맹은 공고하게 유지될 것임을 강조했다.
결국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핫라인'을 유지하면서 군사적 옵션 카드의 위험성을 알리는 동시에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유도하기 위한 제재·압박이라는 기존의 원칙을 고리로 한·미 동맹을 이어가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