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3.06

  • 17.30
  • 0.69%
코스닥

692.00

  • 1.15
  • 0.17%
1/3

차세대 태양전지에 금 대신 알루미늄 전극 사용기술 개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차세대 태양전지에 금 대신 알루미늄 전극 사용기술 개발

UNIST 김진영 교수팀…"제조단가 낮추고 안정성은 극대화"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차세대 태양전지 전극으로 금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김진영 교수팀은 그래핀에 불소(F) 원자를 도입한 물질을 이용해 알루미늄 전극을 쓰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값비싼 금 대신 알루미늄을 쓰면서도 안정성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기술은 김 교수와 김동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박사가 공동으로 진행했고, 제1 저자는 김기환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연구교수다.

연구 내용은 나노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최근 활발히 연구 중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가장 강력한 후보다.

태양 빛을 전력으로 바꾸는 광 전환효율이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20% 이상으로 보고되면서 상용화 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안정성이 낮고 전극으로 금을 사용해 비싸다는 점 등이 상업화에 걸림돌이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공기 중 수분 영향으로 쉽게 분해돼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 문제를 불소 그래핀을 개발해 해결했다. 탄소(C) 원자로 이뤄진 그래핀에 불소(F) 원자를 도입해 물을 튕겨내는 소수성을 가진 물질을 개발해낸 것이다.

김 교수는 "프라이팬을 코팅하는 '테플론(Teflon)'이라는 물질은 소수성은 뛰어난데, 이 물질이 탄소와 불소의 결합(C-F 결합)으로 이뤄졌다"며 "그래핀에 있는 탄소 자리를 불소로 치환해 테플론처럼 높은 소수성을 가지는 2차원 물질을 개발하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극 층과 페로브스카이트 층 사이에 불소 그래핀을 두는 구조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를 만들었다.

그 결과 불소 그래핀이 물 분자를 튕겨내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분해되는 현상을 막았다. 또 전극으로 금 대신 알루미늄을 써도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았다.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운 알루미늄 성질을 불소 그래핀이 보완해준 덕분이다.

김 교수는 "금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해 전극을 만들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을 극대화해 차세대 태양전지뿐 아니라 다양한 사물인터넷 전원,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할 기반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는 유연한 필름에 물질을 코팅하는 과정인 용액공정으로 제작했다.

용액공정을 이용하면 구부러지고 휘어지는 웨어러블 기기에도 태양전지를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태양전지는 기존에 실리콘을 이용하는 무기물 전자 소자보다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작단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높은 광 전환효율에 비해 안정성이 낮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단점을 극복하는 원천기술"이라며 "앞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상업화하는 데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