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인권유린 행위로 악명이 높았던 옛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6일 국토대장정에 나섰다.
형제복지원 사건피해 생존자모임은 6일 오전 11시 부산 사상구의 한 아파트 단지 입구에서 국토대장정 출정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해당 아파트는 1975년 형제복지원이 있었던 부지다.
한종선 형제복지원 사건피해 생존자모임 대표는 "이곳에서 부랑인을 선도한다는 목적으로 시민을 불법 감금해 강제노역과 성폭력, 구타, 학대 등 인권유린을 했다"면서 "그저 살아남기 위해 언젠가 사회로 다시 돌아가 따뜻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날만 기다리며 짐승 같은 삶을 강요당하며 살았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06/AKR20170906092300051_01_i.jpg)
형제복지원이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운영되는 동안 자체 기록으로 확인 가능한 사망자 수만 513명이다.
주검 일부는 암매장되거나 시신조차 찾지 못해 한국판 아우슈비츠로 불리고 있다.
한 대표는 "지난 정부에서 특별법 제정이 무산된 뒤 문재인 정부가 형제복지원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겠다고 했으나 그 속도가 더뎌 피해생존자들의 몸과 마음을 애타게 하고 있다"면서 "형제복지원 사건은 잊힐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특별법 제정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생존자들은 집회를 마친 뒤 서울 청와대를 향해 도보 행진을 시작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06/AKR20170906092300051_02_i.jpg)
486.44㎞를 하루 평균 22㎞씩 걸어 이달 29일까지 22일 동안 행진할 예정이다.
국토대장정 과정에 '대구희망원사건' 피해자를 만나 함께 대책위원회를 열고 일제강점기부터 아이들을 잡아간 것으로 알려진 안산 선감도의 '선감학원 사건' 진실규명을 위해 경기도청도 방문할 예정이다.
read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