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72.62

  • 2.79
  • 0.11%
코스닥

735.68

  • 2.48
  • 0.34%
1/4

"국내 인공지능 연구, 양적성장 더디고 분야 편중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 인공지능 연구, 양적성장 더디고 분야 편중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인공지능 연구, 양적성장 더디고 분야 편중돼"

아주대 연구진 분석…"미래 방향 제시 위한 연구 진행돼야"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국내 인공지능(AI) 학술 연구가 상대적으로 양적 성장 속도가 느리며 연구 분야도 편중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디지털정책학회가 최근 발간한 '디지털융복합연구'에 따르면 아주대 정명석·박성현·채병훈·이주연 연구진은 '논문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분야 주요 연구 동향 분석' 논문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연구진은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인 저자가 게재한 SCI(E) 저널 73만5천861건 중에서 AI와 관련한 2천5건의 논문데이터를 분석했다.

우선 양적인 측면에서 1997년에는 31건, 1998년에는 1건, 1999년 49건 등 두 자릿수였던 AI 관련 논문의 숫자는 꾸준히 증가해 2015년 191건, 지난해 176건을 기록했다.

그러나 전체 한국인 저자 논문 숫자가 1997년 1만254건에서 2015년 6만8천330건, 지난해 6만4천404건 등으로 증가해 온 추세에 비하면 오히려 AI 관련 논문의 비중은 작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 분야 논문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매년 10%의 평균적인 성장세를 보였지만, 전체 논문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해 타 분야에 비해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연구 주제별로 보면 신경망(Neural Network)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관련 논문은 2012년 15편에서 2016년 46편으로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또 최근 각광 받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 관련 논문도 이전엔 한 편도 없다가 2015년 10편, 2016년 11편 등 연구가 시작됐다.

연구진은 "인공지능 선진국인 미국의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가 지난해 '인공지능 국가 연구 개발 전략 계획'을 작성하고 7가지 전략을 도출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매우 국소적이고 세부적이며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공지능에 대해 이론적이고 기술적인 반복수행에서 벗어나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미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