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개혁·협치·올림픽…文대통령 여름휴가 구상 '복잡'
ICBM급 미사일 발사로 대북관계·사드배치 집중할 듯
휴가 중에도 '올림픽 홍보대사' 역할…개혁 구상도 주목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취임 후 처음 맞는 여름 휴가를 떠나면서 휴가기간 문 대통령의 국정 구상에도 자연스럽게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1년 가까이 탄핵 정국에 이은 대선, 인수위 없는 새 정부 초기 국정 등의 험난한 정국 속에서 바쁜 시간을 보냈다.
일주일간의 이번 휴가는 문 대통령이 지친 몸을 쉬게 할 천금같은 시간인 셈이다.
그러나 국내외 상황은 문 대통령이 모든 현안을 잊고 심신을 재충전할 만한 여유를 허락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심경을 가장 복잡하게 하는 것은 휴가 직전 북한이 쏘아 올린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이다.
즉각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발사대 4기 임시배치를 지시하고 미군과 동해안에서 연합 탄도미사일 사격훈련을 하는 등 초강경 대응조치에 나섰지만 난제는 수두룩하다.
무엇보다도 이달 초 '베를린 구상'을 통해 제시한 한반도 평화 이니셔티브의 동력이 약화된 점이 문제다. 당장 북한에 대한 강도높은 압박에 치중할 수 밖에 없지만, 이 과정에서 대화의 모멘텀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문 대통령의 구상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새롭게 관계개선을 모색했던 중국과 다시 외교적으로 '불편'해진 상황도 풀어야할 숙제다. 사드 배치에 더욱 강하게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국내 일부 여론을 살피는 것도 쉽지 않은 과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대통령이 휴가지에 있어도 군 지휘부와 대화할 수 있는 준비를 다 해놔서 (안보 관련 현안에) 빈틈이 없을 것"이라고 한 것도 휴가기간에 이 문제가 문 대통령의 머리에서 떠나지 않을 것을 시사한다.
보름 정도밖에 남지 않은 8·15 광복절 기념사를 다듬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문 대통령은 6·15 공동선언 17주년 행사와 '베를린 구상'에서 북한을 상대로 화해와 협력, 그리고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노력을 촉구한 바 있다. 이번에는 대선 때 공약한 '동북아 플러스 책임공동체' 구상을 토대로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보다 큰 틀의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전망돼왔다.
문제는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인해 광복절 기념사에서 '압박'과 '대화'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지가 초미의 관심사가 돼버렸다.
국내 문제로 눈을 돌려보면 정부조직법 개정과 추경 예산안 편성, 인사 문제 등이 거의 마무리되면서 앞으로 개혁을 어떻게 추진해 나갈지가 관건이다.
지금까지는 대선 당시 공약했던 개혁을 수행할 환경을 조성하는 시간이었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개혁에 속도를 내야 할 때가 왔다고 볼 수 있다.
새 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이 발표된 데 이어 초대기업·초고소득자 증세 기조도 기정사실이 된 만큼 어떻게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이를 밀고 나갈지도 문 대통령이 답을 찾아야 할 문제다.
특히 9월부터 시작되는 정기국회 무대에서 야당들을 상대로 사안별 정책연합을 꾀하는 등 '협치'의 틀을 만드는게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00일도 채 남지않은 평창동계올림픽을 '붐 업'시키는 것도 문 대통령의 고민거리 중 하나다. 문 대통령은 휴가 첫날 강원도 평창을 찾아 동계올림픽 경기장 등을 둘러보고 관계자를 격려한다. 직접 올림픽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홍보 업무를 수행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평창을 찾아 동계올림픽 홍보대사로 위촉된 데 이어 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서도 평창올림픽을 중요한 화제 중 하나로 삼았을 정도로 올림픽 성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이 평창에 들러 올림픽 시설을 둘러보는 것도 휴가 기간의 일부를 쪼개 사실상 업무를 한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수석비서관급에 이어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과 권혁기 춘추관장 등도 이번 주 여름휴가를 맞는 등 청와대에도 '휴가 시즌'이 왔지만 문 대통령에게는 휴가가 '업무의 연장'이 된 셈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휴가지에 있어도 머릿속이 복잡해 제대로 된 휴가를 즐기기도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