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G-200] ② 아직도 부족한 3천억원…스폰서·티켓 판매 총력전
12개 경기장 건설·보완 공사 공정률 96.83%
목표 후원액도 94.5%…공기업 스폰서는 '제로'
(서울=연합뉴스) 이영호 기자 = "제8차 프로젝트 리뷰를 통해 평창올림픽 성화 봉송은 물론 선수단의 출·도착과 숙박, 수송까지 최종 준비상황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의했습니다. 사실상 올림픽이 시작됐다고 봐야 합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오는 24일을 기점으로 200일 앞으로 다가온다. 평창동계올림픽은 2018년 2월 9일 강원도 평창올림픽 플라자에서 개막해 25일까지 평창, 강릉, 정선 일원에서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5천여 명에 달하는 선수단이 참가해 15개 세부종목에 걸린 102개의 금메달을 놓고 17일 동안 열전을 펼친다.
평창올림픽 유치는 인고의 과정이었다.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를 목표로 첫 도전에 나섰지만 밴쿠버에 밀렸고,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 재도전 역시 결선투표에서 또다시 소치에 패해 두 번째 분루를 삼켜야 했다.
삼수(三修)에 나선 평창은 마침내 2011년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치러진 IOC 총회에서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를 따돌리고 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
8년에 걸친 유치 도전 끝에 결실을 본 평창은 '하나 된 열정'을 슬로건으로 경제·평화·환경·문화 올림픽이라는 4대 주제로 대회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하지만 대회 준비 과정 역시 순탄치 않았다.
지난해 한국 사회를 뒤흔든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 속에 평창올림픽 준비는 커다란 난관에 부딪혔다.
최순실 일가의 이권 사업에 걸림돌이 됐던 조양호 전 평창조직위원장이 갑자기 경질되고, 미르와 K스포츠재단 설립에 대기업들이 거액을 강제로 내면서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의 마케팅 활동은 큰 타격을 받았다.
◇ '최순실 난제' 벗어난 평창올림픽 '준비 착착' = 지난해 '최순실 파문' 사태의 면모가 드러나면서 평창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해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되자 정부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대한체육회, 동계종목 단체, 강원도, 평창조직위 등이 참여하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기력향상지원단'을 출범시켰고, 국가대표 훈련비 등 평창동계올림픽 특별 예산으로 올해 337억원 지원을 약속했다.
경기장 건설 사업도 순조롭다. 지난 17일 기준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12개 경기장(6개 신설·6개 보완 또는 개량)의 전체 공정률은 96.83%다.
8개 경기장이 완공됐고,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94.75%), 정선 알파인 경기장(89%), 보광 스노경기장(88.3%), 용평 알파인경기장(86.4%) 등은 마무리작업이 한창이다. 개폐막식이 열리는 올림픽플라자의 공정률은 85.7%다.
평창올림픽 성공 개최의 큰 몫을 차지할 자원봉사요원들에 대한 교육도 한창 진행 중이다.
평창올림픽에서 활동할 1만6천209명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1, 2차 교육을 마쳤고, 9월부터 10월까지는 리더봉사자 교육, 11월부터 내년 2월까지는 직무와 현장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마지막 과제는 '공기업 스폰서 확보' = '최순실 파문'을 겪으면서 조직위가 가장 피해를 본 것은 스폰서 확보였다. 하지만 최순실 일가의 이권 사업의 모태로 지적된 미르와 K스포츠재단 설립에 대기업들이 거액을 지원하면서 정작 조직위는 대기업 상대 스폰서 활동에 제약이 받아야 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5월 취임한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직접 기업 대표들을 찾아다니면서 스폰서 참여를 부탁하는 게 가장 큰 업무였다.
조직위의 노력으로 스폰서 확보는 성과를 내기 시작했고, 지난 4월에는 그동안 걱정거리로 남아있던 주거래 은행이 KEB하나은행으로 최종 낙점되면서 한시름을 놨다. 또 오뚜기, 평창영월정선축협, 면사랑, 철원오대쌀, 극동메탈 휀스, 인플루엔셜, 소문사 등이 올해 들어 공식 서포터로 합류하면서 활기를 띄는 분위기다.
6월 말 현재 스폰서 충당액은 8천884억원으로 목표액(9천400억원) 대비 94.5% 수준까지 올라왔다. 이제 100% 목표 달성을 하려면 '굵직한' 돈줄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선 공기업의 후원이 절대적이라는 게 조직위의 생각이다.
평창올림픽 전체예산은 14조원 수준이지만 고속철도와 경기장 등 인프라 건설 비용이 대부분이고 실제 올림픽을 치르는 데 필요한 예산은 2조8천억원이다.
지난 3월 확정된 평창올림픽 제4차 재정계획에 따르면 전체 운영 예산(수입 2조5천억원, 지출 2조8천억원) 부족액은 3천억원이다. 조직위는 부족한 재원을 스폰서 확보를 중심으로 입장권 및 기념주화 판매로 해결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공기업에 대한 스폰서 참가를 적극적으로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조직위는 한국전력 등 규모가 큰 공기업들과 협의를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horn9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