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구조·잠금장치 개방이 10건 중 3건가량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소방안전본부가 상반기 평균 38분에 한 번꼴로 구조 출동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구조·생활안전 출동 건수를 분석한 결과 모두 6천713건 출동해 1천802명의 인명을 구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09/AKR20170709018400054_01_i.jpg)
지난해 같은 기간 출동 건수는 6천218건, 인명구조는 1천825명이다.
하루 평균 37.1건(전년 34.5건) 출동한 셈이다.
사고별 처리 건수는 모두 5천680건으로 안전조치 1천128건(19.9%), 화재 976건(17.2%), 동물구조 827건(14.6%), 잠금장치 개방 761건(13.4%), 승강기 526건(9.3%) 등이다.
동물구조나 잠금장치 개방이 각 14.6%와 13.4%로 두 가지를 더하면 10건 중 3건가량이나 됐다.
시 소방본부는 유기견이나 길고양이, 뱀, 오소리 등 야생동물 구조 건수가 적지 않고 단순 문 개방을 요구하는 신고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요일별로 토요일과 일요일이 853건과 851건, 금요일 846건, 월요일 794건 순이다.
119구조대가 가장 많이 출동한 곳은 아파트(33.8%)와 도로(11.3%), 단독주택(11.3%) 순이다.
지역별로 북구(2천94건)가 가장 많고 광산구(1천879건), 서구(1천333건), 남구(728건), 동구(678건) 등 순으로, 관할 구별 면적과 인구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마재윤 광주소방안전본부장은 "상반기 구조활동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119도움이 필요한 곳은 언제, 어디라도 신속히 출동하겠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