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배달앱 등록 음식점 상당수, 앱에 원산지 표시 안 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달앱 등록 음식점 상당수, 앱에 원산지 표시 안 해"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배달앱 등록 음식점 상당수, 앱에 원산지 표시 안 해"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배달 애플리케이션(배달앱)에 등록된 음식점 상당수가 앱에 원산지 표시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소비자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는 대형 배달앱 업체 3곳(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에 등록된 업체 중 서울시 5개 구(강남구, 강북구, 양천구, 용산구, 중구)에 있는 1천56개 업체의 앱 상 원산지 표시 실태를 조사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중 484곳(45.8%)이 재료의 원산지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음식점은 20개 품목의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

해당 20개 품목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양(염소)고기, 배추김치 중 배추와 고춧가루, 쌀(밥·죽·누룽지), 콩(두부류·콩국수·콩비지), 넙치, 조피볼락, 참돔, 미꾸라지, 낙지, 뱀장어, 명태(건제품 제외), 고등어, 갈치, 오징어, 꽃게, 참조기 등이다.

배달앱 업체별로 보면 배달의 민족 등록업체 중 49.5%, 배달통은 49.4%, 요기요는 38.4%가 각각 원산지 표시를 누락했다.






소비자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는 "배달앱 이용 소비자의 식품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배달앱 업체의 원산지 관리 시스템과 정부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dy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