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조선·전자·자동차 '맑음'…철강·유통 '흐림'
한경연, 경제·산업전망 세미나…"경기 회복 낙관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올 하반기 조선·건설·전자·자동차 산업은 전반적인 호조세를 보이겠지만, 철강과 유통 산업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경제는 세계 경제의 반등과 수출 증대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리스크가 여전해 회복세를 낙관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한경연은 조선업의 경우 중고선 거래 증가와 중고선가 상승, 후판가격 상승이 가시화되는 6월을 변곡점으로 신조선가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노후선 교체압력으로 인해 수요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자재 업종 역시 조선과 해외건설의 수주 턴어라운드로 하반기 수주회복이 예상된다고 한경연은 밝혔다.
건설업은 새 정부의 주거복지 확충 방침으로 노후도심 개량이 적극 추진될 것으로 보여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화학 관련 업종은 미국의 공급물량이 늘어남에도 G2와 신흥국의 수요회복이 나타나 전반적인 업황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전기·전자업종은 물량 측면에서 정체기에 진입했으나 글로벌 경기 여건이 우호적인 데다 질적 고도화가 이어져 실적 개선이 지속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휴대전화 부품의 경우 듀얼 카메라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성장세를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또 "테슬라의 모델 3 양산이 시작되고 폴크스바겐이 대규모 전기차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등 전기차 생태계가 활성화하는 것도 긍정적인 신호"라고 밝혔다.
자동차산업은 올해 하반기 이후 지난 5년간의 침체국면이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적 반전 요인으로는 ▲ 브라질·러시아 경제의 회복세 ▲ 아시아·중동 정부 재정지출(자동차 판매동행지표)의 3년 만에 확대 전환 ▲ 중국 판매부진의 하반기 점진적 회복 ▲ 국내 공장의 전년도 최대규모 파업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꼽혔다.
이와 달리 철강업은 중국의 철강수요가 미약한 가운데 원자재가격 상승 동력이 약화하면서 업황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중국의 강력한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공급 감소로 철강가격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유통업은 고령화와 가처분소득 감소 등에 따른 구조적 성장성 둔화, 유통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업황이 부진할 것으로 우려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송원근 한경연 부원장은 하반기 경제 전망에 대해 "회복세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으나 불확실성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었던 우리 기업의 매출이 지난해 소폭 반등했지만 아직 2012년 수준을 회복하기 전이고, 일본이나 중국보다 영업이익률이 낮아 본격적인 추세의 전환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송 부원장은 "부동산 가계부채, 미 기준금리 인상 현실화에 따른 투자금 회수 가능성 등 하방 리스크가 여전하다"면서 "많은 기업이 긍정과 불안 요소들의 혼재로 하반기 사업방향을 잡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장은 "당초 예상했던 수준만큼의 경기 악화 가능성은 작지만 대내외 리스크 요인은 여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강 원장은 "경기 회복세를 강화하려면 투자와 고용 확대를 지속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소비 진작책 마련, 통상대응 여력 강화, 외환보유고 확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표] 2017년 주요산업 경기전망 및 요인
┌──────────┬───┬──────────────────────┐
│업종│ 전망 │ 주요 요인 │
├──────────┼───┼──────────────────────┤
│ 조선·기계 │ 맑음 │(+)중고선 거래 증가, 중고선가 상승, 환경규 │
││ │제 강화에 따른 노후선 교체수요 발생, 기계업 │
││ │은 조선, 해외건설 수주 턴어라운드로 회복 전 │
││ │망 │
││ │(-)실제 선가 반등 및 한중일 구조조정 마무리│
││ │ 불확실 │
├──────────┼───┼──────────────────────┤
│건설│ 맑음 │(+)새 정부 서민 주거복지 강조, 주택가격 과 │
││ │열은 막되 노후도심 개량 적극 추진 전망 │
││ │(-)맞춤형 금융규제 강화│
├──────────┼───┼──────────────────────┤
│ 석유화학 │ 맑음 │(+)G2 및 신흥국 수요회복에 따른 시황개선, │
││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정제마진 상승│
││ │(-)유가반등으로 이익 모멘텀 둔화 │
├──────────┼───┼──────────────────────┤
│ 전기·전자 │ 맑음 │(+)양적 정체기이나 질적 변화 지속, 듀얼 카 │
││ │메라와 OLED에 모멘텀 집중, Tesla Model 3 양 │
││ │산 개시 등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 │
││ │(-)스마트폰 시장 성숙기 진입, 교체수요 의존│
├──────────┼───┼──────────────────────┤
│ 자동차 │ 맑음 │(+)브라질?러시아?아중동 등 신흥국 판매회복,│
││ │정치이슈에 따른 중국 판매부진 회복 예상,│
││ │ 국내 공장 전년도 최대규모 파업 기저효과│
││ │(-)판매이익의 장기 상승 여부 불확실│
├──────────┼───┼──────────────────────┤
│철강│ 흐림 │(+)중국 철강산업의 강한 구조조정에 따른 공 │
││ │급 감소 및 이에 따른 공급가 하락 제한 │
││ │(-)중국의 건전성 강화를 위한 유동성 조정과 │
││ │철강수요 미약, 미국의 경제정책 기대감 약화 │
├──────────┼───┼──────────────────────┤
│유통│ 흐림 │(+)경기상승 기대감에 따른 소비회복 가능성 │
││ │(-)구조적 성장성 둔화, 유통규제 강화, 편의 │
││ │점 단기 과잉공급에 따른 성장 둔화 우려 │
└──────────┴───┴──────────────────────┘
※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