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도 탈핵시대]② 신재생에너지에 도시 미래를 걸다
부산 수요자원 거래시장 확대, 미래자동차 모터산업 추진
울산 41조원 규모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 보급사업 박차
(전국종합=연합뉴스) 신재생에너지는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지만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산업부에서 2008년과 2012년을 비교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지표를 보면 기업 수는 1.5배 늘었고 고용인원은 1.8배, 매출액은 2배, 수출액은 1.5배 증가했다.
지금은 그 증가 속도가 더욱 빠를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도 2014년 대비 2020년까지 신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은 40%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산업적으로 놓칠 수 없는 분야다.
부산시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에너지신산업과 연계해 지역특화사업으로 개발하고 산·학·연 연구개발(R&D) 활성화, 인력양성을 통해 지역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
소비자들이 아낀 전기를 되팔 수 있는 '수요자원 거래시장'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우선 추진한 뒤 수익성을 분석해 공장과 백화점 등 에너지 다소비업체나 소규모 아파트와 상가 등 민간부문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CNG버스나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를 현재 500대 수준에서 2030년까지 3만대로 확대하고 충전 인프라 확충과 미래 자동차용 모터산업 기반을 구축한다.
부산지역 항만을 친환경 항만으로 만들기 위해 관공선 연료를 액화천연가스(LNG)로 교체하고 민간선박과 야드 트랙터 등 항만수송 수단의 연료를 수소로 전환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부산 강서구 가덕도에 태양광과 지열 발전을 동시에 하는 발전소를 건립하고 생곡단지에 폐열과 태양광을 동시에 발전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비즈니스 시장 창출에 나선다.
전북도는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에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산·학·연 협력센터에서 시험용 수소연료전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는 현대자동차가 2018년 양산을 목표로 개발 중인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차량에 설치된다.
이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해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로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센터는 국내 수소연료전지 개발 지원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북도, 부안군 등이 240억원을 들여 설립한 정부 출연기관이다.
울산시는 지난해부터 차세대 에너지 산업으로 주목받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 등에 저장한 뒤 필요한 때에 선택적·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다.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요금도 절약할 수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초 삼성SDI 울산공장, 씨브이네트, 경동도시가스,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관계자 등과 ESS 보급 확대 협약을 맺었다.
울산에는 현재 삼성SDI 4㎿, 디아이씨 2㎿, 울주변전소 6㎿, 울산변전소 8㎿ 등 전체 20㎿ 규모의 ESS가 보급됐다.
기업이 많은 울산은 2023년까지 ESS 시장 규모가 41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협약을 계기로 2030년까지 국가 ESS 보급목표의 10% 정도(1GW)를 에너지 다소비 기업체, 발전, 송·변전시설,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제로'를 목표로 도내 모든 차량을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모두 신재생에너지로 변환·공급하겠다는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계획을 추진 중이다.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폐배터리 재사용과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전기자동차 연관 산업, 풍력개발 추진, 태양광 보급사업, 마을풍력사업, ESS 보급사업 등이 주요 내용이다.
제주도는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을 제8차 국가전력 수급계획에 반영할 것을 요청하고 풍력자원 공유화기금 운영과 도 조례 제정 등 세부 전략을 추진 중이다.
(김상현, 김선경, 임채두, 장영은, 고성식 기자)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