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3.06

  • 17.30
  • 0.69%
코스닥

692.00

  • 1.15
  • 0.17%
1/3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중동 흔드는 美 이중잣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중동 흔드는 美 이중잣대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초강대국 미국의 중동에 대한 이중잣대 논란이 이번 카타르 단교 사태 국면에서도 새삼 부각됐다.

무틀라크 알카흐타니 카타르 외무부 대테러 특사는 11일(현지시간) 알자지라 방송과 인터뷰에서 카타르가 4년 전 아프가니스탄 테러조직 탈레반의 정치국 사무소를 도하에 열도록 한 것은 다름 아닌 미국의 요청 때문이었고 주장하고 나서면서다.

당시 버락 오바마 정부는 아프간에서 철군을 추진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을 보유한 탈레반과 평화협상을 하기 위해 도하에 탈레반과 접촉하기 위해 카타르에 이를 요청했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였을 뿐인데 이제 와 테러조직을 지원해왔다는 누명'을 쓰고 있다는 억울함을 호소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카타르 단교 사태와 관련, "카타르는 역사적으로 테러조직에 상당한 돈을 대왔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수니 아랍권의 단교에 동조했다.

미국 정권이 교체됐지만 걸프의 약소국인 카타르로서는 미국의 일관성없는 대(對) 중동 정책에 휘둘려 국가의 존립까지 위협받는 처지가 됐다.

중동에서 미국의 오락가락하는 이중 잣대는 역사가 오래됐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으로 축출된 사담 후세인 독재 정권의 후원자가 정작 미국이었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1980년대 아프간 내전에서 소련의 남하를 막기 위해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인 무자히딘(이슬람 전사)을 미국이 지원했고, 이들은 이후 탈레반과 알카에다의 '창립 멤버'가 됐다.

이란은 미국이 핵무기 개발에 의혹을 제기할 때마다 이스라엘을 예로 들면서 이중잣대를 비판한다.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은 사실상 핵무기 보유국가로 인정되고 핵확산금지조약(NPT)에도 가입하지 않았지만 미국은 이에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는다.

이란의 핵무기 개발 의혹과 관련해 "중동과 세계 안보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강력한 경제·금융 제재를 가한 것과는 전혀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런 미국의 이중잣대는 미국 보수층의 이슬람 혐오 정서와 엮여 중동에서 식지않는 반미 감정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국이 중동 내정에 개입하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잣대 역시 그때그때 다르다.

대량파괴무기를 보유했다면서 2003년 이라크를 공격해 과거 자신이 지원한 독재자 후세인을 몰아내면서 미국 정부는 이라크의 민주주의를 재건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미국은 2013년 민주적 투표로 선출된 이집트의 모하마드 무르시 정부가 군부 쿠데타로 축출됐을 때도 미국의 태도는 분명하지 않았다.

미국은 당시 군부의 무르시 축출을 '쿠데타'로 규정해야 하는지의 문제를 놓고 갈팡질팡했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30여년간 우호적이었던 이집트 군부를 외면할 수 없었던 데다 무르시 정권이 미국의 전통적 우방인 걸프 왕정이 꺼리는 이슬람주의 무슬림형제단의 지지를 받았던 탓이다.

그러나 지난해엔 터키에서 쿠데타가 일어나자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권은 민주적 선거로 선출된 합법 정부"라며 에르도안 대통령 편에 섰다.

시리아에선 선거로 뽑힌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에 맞선 반군 세력을 지원한다. 알아사드 정부가 이란과 가깝다는 이유에서다.

참수로 사형을 집행하고 여성 인권 후진국으로 비판받는 절대 왕정 국가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중동 정책의 가장 가까운 맹방으로 삼는 점도 논리적으로 아이러니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