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한열을 사는 사람]③ '역사 바꾼 그 사진' 정태원씨
피 흘리며 부둥켜 안긴 '이한열 사진'…6월 항쟁 기폭제 돼
"숨진 학생운동가 기림비 세워져 다음 세대가 기억해줬으면"
(서울=연합뉴스) 안홍석 기자 = 희뿌연 최루탄 연기 속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던 학생들이 썰물 빠지듯 달아났다.
1987년 6월 9일 연세대 앞 반정부 시위 현장. 로이터통신 사진기자 정태원(78)씨는 뷰파인더 속으로 정신을 잃은 채 머리에 검붉은 피를 흘리는 청년을 목격했다.
지난달 29일 이한열 열사 추모 동판이 있는 서울 신촌 연세대 정문 앞에서 만난 정씨의 눈앞에는 1987년 6월 9일 그 날의 상황이 30년이 지났는데도 생생히 펼쳐진 듯했다.
"'얘 죽겠다. 또 꽃다운 청년이 하나 죽는구나' 느낌이 왔지. 나 혼자 찍었으니까 특종인 것도 알았지. 그런데 대한민국 역사를 바꿀 기폭제가 될 줄은 몰랐어."
엄혹한 신군부의 언론통제 아래 국내 언론사는 마음대로 보도하지 못하던 시절이었다.
학생들은 시위가 있는 날 아침이면 공중전화로 외신 사무실에 전화를 돌렸다. 그날 정씨가 일하던 로이터통신으로 전화한 학생은 "오늘 연대에 작은 모임이 있습니다"라고 전했다고 한다.
박종철 열사의 죽음을 규탄하는 6·10 범국민대회가 열리기 하루 전날이었다. 다른 학교는 쥐죽은 듯 조용했는데 연대에서만 집회가 열렸다. 작은 규모의 시위일 것이라고 짐작한 정씨는 장비를 단출하게 챙기고 신촌으로 향했다.
50명에 불과하던 학생 시위대는 금새 1천명 정도까지 불어났다. 다른 사진기자들과 함께 연대 정문 맞은편 철길 둑에 올라가 있던 정씨는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홀로 정문 근처로 내려왔다.
오후 4시 30분께 경찰이 최루탄을 쏘며 진압에 나서자 학생들이 교문 안으로 도망갔다. 그들을 따라가던 정씨 눈앞에서 이 열사가 쓰러졌다.
"구호 몇 마디 외치지도 않았는데 최루탄을 쐈어. 한열이는 도망가다가 뒤통수에 맞았어. 뿌연 연기 속에서 한열이 손이 올라가는 걸 봤는데, 갑자기 털썩 쓰러지더라고. 그래서 쫓아가면서 촬영했지."
머리에 피를 흘리며 쓰러진 이 열사를 같은 학교 학생이었던 이종창(51)씨가 부축했다. 이 장면이 정씨 카메라에 담겼다.
"곧바로 차를 몰고 비원(창덕궁 후원) 앞에 있던 사무실로 달렸어. 차가 밀려서 한 시간 넘게 걸렸지. 도착하자마자 뇌사 상태라는 걸 세브란스병원에 확인했어. 살아날 가능성이 있느냐고 물으니 '알아서 판단하시라' 그러더라고…"
로이터는 오후 6시 30분 '학생 한 명 사망'이라는 제목이 달린 이 열사의 사진을 내보냈다. 다음날 당시 석간지인 중앙일보 1면에 이 사진이 실렸다. 그 다음 날 조간에도 연이어 실렸다.
이 한 장의 사진이 불러일으킨 공분은 민주화를 향한 열망을 폭발시켰다. 전국에서 '한열이를 살려내라'는 외침이 울려 퍼졌다. '넥타이 부대'까지 가담하면서 시위는 폭발했고, 전두환 정권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을 포함한 6·29 선언으로 항복했다.
30년이 흐른 지금 정씨의 얼굴에서 특종을 했다는 자부심은 찾기 어려웠다. 그는 그저 사진과 언론에, 기자들에게 고맙다고 했다.
"(박)종철이도 두드려 맞고 고문받아 죽었는데 그때는 사진이 없었잖아. 한열이 죽음은 사진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한테 전달되고 영향을 준 거야. 도화선이 된 거지. 나는 외신기자여서 가까이서 찍을 수 있었을 뿐이야."
그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때도 UPI통신 소속으로 광주에 가 수많은 특종을 했다. 대부분 누군가의 죽음을 담은 사진이었다. 정씨는 아직도 밤잠을 설칠 때가 많다고 한다.
이 열사가 숨졌다는 것을 확인했을 때 어떤 기분이었냐고 묻자 그는 한동안 침묵하다가 입을 떼었다.
"그때 내 자식들도 대학생이었다는 말만 할게."
정씨는 6월 항쟁으로 민주화가 이뤄졌다지만 아직 한국의 민주주의는 갈 길이 멀다고 했다. 대통령 탄핵과 정권 교체를 불러온 촛불집회의 성과는 '진정한 민주화의 싹'이라고 평가했다.
"정치인과 행정을 보면 윤리와 도덕, 진실, 양심이 없어. 박근혜는 재판받으면서 자기가 했다는 게 하나도 없잖아. 최근 나온 전두환 자서전 봐도 (광주에 대해) 잘못했다는 말이 없어."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면 '기억'이 가장 중요하다는 게 정씨 생각이다. 더 많은 젊은이가 민주화 과정에서 희생당한 학생운동가를 기억하고, 고마워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한 학생이 이 열사를 기리는 동판을 밟고 지나갔다. 정씨는 한숨을 쉬었다. 캠퍼스 안에 있는 이한열 동산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동산에 있는 이한열 기념비 앞에는 색이 바랠 대로 바랜 조화 바구니 하나만 놓여있었다.
이 열사의 죽음을 담은 자신의 사진 한 장이 역사를 바꾼 것처럼, 그는 기록의 힘을 믿는다. 지금의 민주주의를 얼마나 힘들게 이룩한 것인지 다음 세대가 제대로 알 수 있게끔 정부가 민주화 운동을 하다 숨진 학생운동가를 기리는 기림비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즘 젊은 학생들은 선배들이 민주주의를 쟁취하려고 얼마나 치열하게 노력했는지 모르는 것 같아. 너무 쉽게만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어. 한열이는 물론이고 민주화 운동을 하다 숨진 꽃다운 청춘들을 사람들이 계속 기억해줬으면 좋겠어."
a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