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2

"월급 적고, 복지 없고, 노동법 개념 없고"…中企 퇴사하는 이유(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월급 적고, 복지 없고, 노동법 개념 없고"…中企 퇴사하는 이유(종합)

"야근 보상은 '힘내요'라는 말뿐"…중소기업 인력난에도 청년은 외면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김은경 기자 = 청년 실업률이 지난 4월 기준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지만, 중소기업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청년 실업률이 치솟는 상황에서도 취업준비생들은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외면하고 '좁은 문'인 대기업과 공기업만 바라보고 있다.






최근 한 중소 벤처기업에 취직한 A(25·여) 씨는 일 시작 몇 주 만에 퇴사를 고민하고 있다.

A 씨는 한 달 중 20일을 일한다.

얼핏 보면 여건이 좋아 보이지만, 20일에 끝낼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업무를 주면서 돈은 일급으로 하루 7만원을 준다.

세금 떼기 전 월급이 140만원 정도다.

A 씨는 "돈도 적고 복지체계도 없고 사장이 노동법에 대한 기본 개념도 없는 것 같다"며 "야근하는 것에 대한 보상이 '조금만 힘내요'라는 응원"이라고 전했다.

그는 "취업 준비생들이 대기업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것이 어차피 일하기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이나 힘들기 마찬가지인데 대기업이 돈이라도 많이 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대표들은 직원을 신규 채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기존 직원 이직률마저 높다며 인력난을 호소한다.

기획·디자인 계통 중소기업 대표 이모 대표는 "채용도 잘 안 되는데 1∼2년 일하고 그만두는 사람이 80% 가까이 된다. 결국은 힘들다는 이유에서인데, 동종업계 다른 기업보다 많이 챙겨줘도 늘 부족한가 보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 씨는 "급여를 더 주려면 회사가 수익을 더 내야 하는데 대다수 중소기업은 대기업 등 원청의 하도급을 받기 때문에 수익성을 개선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라며 "정부가 중소기업에 자금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종속된 현재 경제구조를 바꿀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선업(예선을 이용해 항만운영과 관련된 업무를 보는 사업)계 중소기업 대표 김 모 씨도 사정은 비슷하다.

김 씨는 "동종업계에 직원이 필요한 곳은 많지만, 교대 근무를 해야 하는 등 쉽지 않은 일이라는 인식 때문인지 일할 사람 구하기가 너무 힘들다"며 "청년실업이라고 하는 데 다들 편한 일만 찾는 듯하고, 우리 업종은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없게 돼 있어 사람이 더 없다"고 말했다.

김 씨는 "사회 분위기도 돈보다는 생활의 여유를 추구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전에는 초과수당을 받기 위해 야간에도 일하는 직원들이 많았는데 요새는 오후 5시만 되면 집에 간다"며 "우리 업종은 신입 교육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데 최근 들어 이직률도 높아져 난감하다"고 전했다.


중소기업연구원의 '2016~2010년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를 보면 중소기업의 80.5%가 "현재 회사에서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매우 어렵다'가 21.0%, '다소 어렵다'가 59.5%로 구인 어려움을 호소한 중소기업이 80.5%나 됐다. '어렵지 않은 편이다'(18.0%)와 '거의 어렵지 않다'(1.5%)는 응답은 합해서 20%에 못 미쳤다.

인력 부족분을 외국인으로 메우면서 외국인 근로자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E-9(비전문취업)·H-2(방문취업) 비자 등으로 입국해 국내에 체류 중인 '단순 기능인력' 외국인 근로자는 2012년 47만9천 명에서 지난해 54만9천 명으로 14.6%(7만 명) 증가했다.

E-9과 H-2 비자를 받고 들어온 이들은 대부분 중소 제조업체나 음식점 등에 고용돼 내국인이 하기 꺼리는 단순 노동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존 직원마저 회사를 그만두는 비율이 대기업보다 훨씬 높아 인력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연도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직률 격차는 2010년 0.7% 포인트였으나 지난해는 1.5% 포인트로 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2010년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4.6%로 300인 이상 대기업 이직률(3.9%)보다 0.7% 포인트 높은 데 그쳤다.

하지만 이직률 격차는 5년 후인 2015년 1.8%(중소기업 4.8%, 대기업 3.0%)까지 확대됐다가 지난해 1.5%(중소기업 4.5%, 대기업 3.0%)로 다소 낮아졌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중소기업이 대기업 정도는 아니더라도 다른 선진국 중소기업들처럼 충분히 먹고 살 만하고 장래가 보장된다면 구직자들이 기피하지 않을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불공정거래 관행을 타파해 대기업과 재벌 중심의 경제 체질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학 졸업자들은 중소기업 제조현장에서 일하려 하지 않는다"면서 "중소기업에서 근무할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 학생 비중을 현재 전체 고교의 19%에서 30% 이상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