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20.36

  • 13.98
  • 0.55%
코스닥

693.15

  • 3.68
  • 0.53%
1/3

뉴트리아만 급감…큰입배스 등 생태계 교란생물 증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뉴트리아만 급감…큰입배스 등 생태계 교란생물 증가

큰입배스 '상대풍부도' 배 이상 증가, 가시박·미국쑥부쟁이 분포면적 늘어

환경부 "어류·식물 박멸 쉽지 않다", 환경단체 "무분별 개발 지양이 우선"



(창원=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일명 '괴물 쥐'로 불리는 뉴트리아는 환경 당국 등의 꾸준한 퇴치 활동으로 총 개체수가 절반가량 줄었으나 나머지 생태계 교란생물의 총 개체수는 현상유지 수준이거나 거꾸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와 환경 당국은 예산문제나 이들 교란종의 강한 번식력, 퇴치 작업 자체의 어려움 등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큰 퇴치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환경부의 '주요 생태계 교란생물 모니터링'을 살펴보면 강원도 춘천호 등 전국 12∼17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2011년 100㎡ 면적당 3.89마리이던 뉴트리아는 2016년 1.03마리로 급감했다.

총 추정 개체수도 2014년 8천700여마리에서 2016년 5천400여마리로 줄었다.

반면 다른 생태계 교란생물인 파랑볼우럭은 2010년 상대풍부도 30.7%에서 2016년 22.8%로 소폭 주는 데 그쳤다.

상대풍부도는 조사지역에서 해당 생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가령 조사지역에서 잡은 생물 10마리 중 3마리가 파랑볼우럭이었다면 이 어류의 상대풍부도는 30%이다.

큰입배스는 2010년 상대풍부도 5.2%에서 2016년 13.5%로 배 넘게 늘었다.

식물인 가시박은 2010년 조사지역 내 분포면적이 19만5천650㎡에서 2016년 29만9천100㎡로, 미국쑥부쟁이는 2010년 6만150㎡에서 2016년 11만1천970㎡로 각각 증가했다.

환경부는 총 20종의 생태계 교란생물 중 뉴트리아, 큰입배스 등 확산 추세인 생물 6종을 지정해 퇴치 작업을 하고 있으나 뉴트리아 외에는 구체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도 낚시꾼이나 시민들이 방류한 뒤 우후죽순 늘어나는 생태계 교란생물 때문에 골치를 썩이고 있다.

충북 속리산사무소는 삼가 저수지에 서식 중인 베스를 퇴치하고자 2008년부터 포획에 나서 작년까지 9천697마리를 제거했다.

그러나 포획 중에도 산란이 계속돼 개체수가 유지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경남 창원시 도심에 있는 용지호수도 생태계 교란생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창원시는 최근 수년 동안 용지호수에 블루길, 큰입배스, 붉은귀거북이 번식하며 토종어류인 잉어나 붕어를 잡아먹자 이들 생물의 포획에 나섰다.




그 결과 시는 2014년 2천347마리, 2015년 3천104마리, 2016년 5천11마리를 잡는 성과를 올렸다.

올해도 예산 1천300만원을 투입해 인공 산란장이나 그물 등을 호수에 설치하는 퇴치 작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완전 박멸은 힘들고 토종어류가 이들을 견제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며 "매년 포획 수가 늘어나는 만큼 해를 거듭할수록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 당국은 지자체와 협업하지 않으면 확산 추세종의 강한 번식력, 넓은 분포면적 등 때문에 퇴치 작업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트라아처럼 포유류인 경우 포획이 다른 교란종에 비해 쉬운 편"이라며 "어류는 수중생활을 하고, 식물은 뿌리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데다 자연 확산 속도가 빨라 박멸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식물은 깨끗하게 제거한 것처럼 보여도 종자가 묻혀있던 게 발아가 되는 등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쉽지 않다"며 "지자체와 협업해 충분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 뒤 수년간 꾸준히 퇴치 작업을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단체는 인위적인 개체수 조절에 앞서 각종 개발사업으로 망가진 생태계 복원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정책실장은 "20종이나 되는 생태계 교란생물을 인위적으로 박멸한다는 것은 인간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나 다름없다"며 "각종 개발사업 때문에 고유종 서식환경이 파괴되고 외래종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 게 근본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생태계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토종 생물이 다시 제자리를 찾으면 특정 외래종이 생태계를 좌지우지하는 상황을 자연스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개별 퇴치 작업을 해나가되 자연이 복원력을 되찾을 수 있게끔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하고 생태계를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는 노력도 함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ome12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