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강원 두메산골서 구전 전통지식 2천500여건 발굴
(세종=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생물의 활용가치를 찾기 위해 지난해 강원도 국립공원과 전통마을 3곳에서 조사를 벌여 전통지식 2천500여건을 찾아냈다.
2009년부터 생물다양성이 우수한 국립공원과 지역색이 두드러진 전통마을의 생물자원 전통지식을 계속 조사해 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1_i.jpg)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와 함께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강원권 설악산·오대산·치악산 국립공원 주변 지역과 사천 갈골마을·인제 냇강마을 등 총 72개 마을에 거주하는 167명의 현지주민을 면담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2_i.jpg)
그 결과 연구진은 식물·어류 등 426종의 생물자원과 관련된 총 2천495건의 전통지식을 발굴했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오대산국립공원이 996건으로 가장 많고, 치악산국립공원 869건, 설악산 국립공원 345건, 전통마을 285건 등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3_i.jpg)
전통지식을 알려준 주요 연령대는 70∼80대의 고령층이다. 전체의 85%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했다.
생물자원 이용에 관한 대표적인 전통지식은 삽주·질경이·참취·익모초 등 식물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한 사례들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4_i.jpg)
연구진은 최소 70∼80년 전부터 삽주, 질경이, 삼취를 나물 등으로 먹거나 배탈이 나거나 체했을 때 이용한 사실을 알아냈다. 더위를 먹거나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익모초를 사용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5_i.jpg)
파리나 모기 등 해충을 쫓아낼때에는 할미꽃 뿌리를 사용하고, 관절통과 신경통 환자는 '속새'라는 식물을 활용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067800004_06_i.jpg)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굴된 전통지식을 국가 생물자원 전통지식으로 보존·관리하고, 생물자원의 유용성 탐색 연구에 이용할 예정이다.
백운석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전통지식은 잠재적 활용가치가 높아 생물자원 산업화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 자생 생물자원의 전통지식을 계속 발굴해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