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대우조선 구조조정안' 형평성 측면 비판(종합)
"산업·수출입銀 대규모 충당금 불가피" 지적도
"빅2 체제로 개편하면 현대·삼성중공업 수혜"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유현민 전명훈 기자 = 산업은행과 금융당국이 제시한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증권사들의 비판이 잇따랐다.
먼저 대우조선 회사채 투자자들에게 과거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해운업종 회사채 투자자들과 동일하게 손실분담을 요구하는 것은 형평성에 반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임정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투자자들의 부적절한 판단으로 손실이 확대된 해운업종의 회사채와 달리 주채권은행의 도덕적 해이에서 비롯된 대우조선의 유동성 위기는 책임 분담 측면에서 분명히 구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은행과 금융당국은 모든 채권자가 손실분담에 동의하는 채무재조정안이 통과하면 2조9천억원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지만, 채무재조정에 실패하면 강제적인 구조조정 절차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임 연구원은 "대우조선은 분식으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이후 등급이 추락하기 시작했다"며 "채무재조정에 동의하더라도 조선업의 사업재편이 성공하면서 만기 연장된 원금의 3년 뒤 상환 가능성을 확신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결국 국내 조선산업을 전략적으로 '빅2' 체제로 개편할 목적으로 대우조선 구조조정 이후 내년부터 매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본확충 이슈가 다시 부각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박진영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과 관련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대규모 충당금 설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자본확충 이슈가 다시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일반은행의 경우에도 현대상선의 채무조정 방안을 고려하면 출자전환 부담이 높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현재 은행들은 대우조선해양 관련 여신 건전성을 요주의로 분류하고 있는데 향후 건전성 분류는 고정이하로 조정될 것"이라며 "구조조정안에 따라 출자전환을 하면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의 추가손실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이 합쳐진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이 추진되면 선수금환급보증(RG) 규모가 큰 신한은행과 농협은행의 추가손실 부담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대우조선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현대중공업[009540]과 삼성중공업[010140]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채무조정안 난항으로 P-플랜으로 가든, 채무조정안에 합의하든 결국 국내 조선업은 빅2 체제 전환이 불가피하다"며 "이 과정에서 과열 수주 경쟁이 자제되는 등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반사효과가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기관투자자들이 대우조선의 채무조정안에 동의할지는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채무조정안에 동의하면 최소 7천750억원이 주식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주가가 큰 폭으로 내리고, 2천700%에 달하던 부채 비율은 400%로 내려가는 효과가 있다.
협의가 되지 않거나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채무조정이 부결되면 P-플랜에 들어가게 된다.
kaka@yna.co.kr, hyunmin623@yna.co.kr,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