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보복' 피해 관광·소비재 집중…"보복 확대 대비해야"
국내외 경제전문기관 조언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박성진 기자 =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 제공 여파로 7일 오후 현재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의 계열사 롯데마트 중국 내 지점 ⅓인 39곳이 영업정지를 당했다.
또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 조처가 내려진 뒤 10만 명이 넘는 중국인 관광객이 제주관광 예약을 취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이 사드배치에 대해 '경제 보복의 칼'을 본격적으로 꺼내 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태가 장기화하고 제재도 강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중국 사드 보복에 관광·소비재 직격탄
중국 정부가 사드보복으로 한국 여행 금지령을 내리면서 가장 큰 중국 손님을 잃게 된 여행, 면세점, 호텔업계 등은 당분간 어려움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1천244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약 25.1%를 차지했다. 관광 부문은 중국 의존도가 훨씬 높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은 모두 1천720만 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거의 반(46.8%)이 중국인(806만 명)이었다.
LG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방한 유커(遊客, 중국인 관광객)의 총지출액은 전체 관광객 총지출액의 62.5%인 15조7천22억 원으로 집계됐다. 중국인 여행수지는 그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0.5%에 해당한다.
중국 정부의 관광 금지로 올해 방한 중국인은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올해 2분기 중국인 관광객이 20% 감소하고 올 한해로는 7%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2분기에 중국인 입국자가 최대 50∼70%까지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면세점 역시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어지면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액은 12조2천700억 원 정도인데, 이 가운데 70%인 8조6천억 원 정도가 중국인 구매액으로 추산된다.
롯데마트 등 중국에 진출한 유통회사, 한류 바람을 타고 중국에서 인기를 끄는 화장품 등 소비재가 이미 보복을 당하고 있거나 그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 "중국 수출에 필요한 韓 부품·소재는 손 안 댈 것"
중국은 지난해 7월 한국·미국 정부가 주한미군에 사드배치를 공식 발표한 후 8개월에 걸쳐 대응 강도를 점점 높여왔다.
하지만 제재 대상이 되는 업종은 주로 최종 소비재나 문화·서비스 산업에 국한되고 있다.
2차전지, 전기 강관과 같은 부품이나 소재에 대해서 제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중국 내에 대체재가 존재하거나 자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품목들을 의도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으로서도 한국에서 반도체 등 중간재를 수입해 세계로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에서 자국민의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는 한국 제품 금지에는 아직 신중할 수밖에 없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과 한국 무역의 기본적인 패턴은 중국이 한국에서 원자재, 자본재를 수입해 가공 조립한 후 선진국에 수출하는 형태"라며 "당장 대체할 만한 수입 거래처를 찾기 어려워 원자재와 자본재 부문 수출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사드 실전 배치가 진행되면서 중국 내 여론이 더욱 악화해 경제 보복 범위가 확대되고 지속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12년 일본 정부가 중일 간 영유권 분쟁이 진행 중인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에 대해 국유화를 전격 선언하자 중국은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민간교류 등 전방위에 걸친 강력한 보복에 나섰다.
중국 국내에서는 반일 시위와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벌어졌고, 중국 정부의 일본 관광 통제로 인한 충격도 상당했다.
당시 가장 큰 피해를 본 분야는 자동차와 관광으로 그해 일본의 대중국 자동차 수출은 전년보다 42.2%, 방일 중국인은 7.8% 감소했다.
센카쿠 갈등으로 2012년 일본의 대중 수출액은 전년보다 11.0%, 2013년에는 10.5% 각각 감소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과거 중국은 센카쿠 열도 분쟁 등 안보 핵심 이해가 침해당했다고 판단한 경우 강경한 대응을 상당 기간 지속했다"면서 "사드배치가 본격화하는 상반기까지 중국의 사드보복이 강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