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화주업체 65% "한진해운 사태로 해상운임 올랐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화주업체 65% "한진해운 사태로 해상운임 올랐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화주업체 65% "한진해운 사태로 해상운임 올랐다"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지난해 9월 한진해운[117930] 사태 이후 해상운임이 오를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 수출실적이 100만 달러 이상인 화주업체 332개 사를 대상으로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수출 물류환경 변화'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9월 이후 해상운임이 올랐다는 응답률이 65.4%에 달했다고 2일 밝혔다.

운임이 상승한 지역으로는 가장 많은 24.4%가 아시아를 꼽았고 북미와 중국이라는 응답도 각각 23.0%와 18.9%가 나왔다.

운임 상승 폭은 '30% 미만'이 74.2%, '30% 이상'이 20.3%였다.

운임이 상승했다고 밝힌 업체는 주로 '다른 선사 이용을 확대'(57.6%)하거나 '수출가격을 인상'(12.3%)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특별한 대응책이 없다'고 답한 업체도 23.3%로 집계됐다.

운임 상승으로 걱정되는 점으로는 가장 많은 45.7%가 '수출가격 인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를 꼽았다.

한진해운 사태 이후 선복(적재공간) 부족에 따른 운송 차질 문제를 겪는 업체는 전체의 57.5%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26.2%, '북미' 22.5%, '중국' 17.8% 순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운임 상승 지역과 선복 부족 지역이 겹치는 점으로 볼 때 선복 부족에 따른 초과 수요가 해상운임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국적 선사의 이용률이 감소한 대신 외국적 선사의 이용은 늘었다.

응답 기업의 51.8%는 '국적선사 이용률이 줄었다'고 답했고, 이중 절반가량은 '외국적 선사 이용률이 3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적선사 이용률 감소 원인으로는 '선복 부족'(38.0%), '선박 스케줄 축소'(25.1%), '비싼 운임'(21.2%) 등이 나왔다.

'변동이 없다'고 한 업체 비율은 40.4%였다.

이들 업체는 한진해운 사태 이전부터 운송주선업체(포워더)를 통하거나 자체 입찰을 거쳐 선사와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국적 선사를 이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수출기업의 해외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선돼야 할 과제로는 '선적 공간의 원활한 확보'(36.4%), '해상운임 안정'(28.3%) 등을 요구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 이후 우리 수출업계는 단기적으로 해상운임 상승, 선복 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국적 선사 이용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국적선사를 육성하고 운송 루트를 다변화하는 등 수출화주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