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공분에 몰린 北, 중국으로 '탈출구 파기' 시도
미국은 테러지원국 딱지 검토하고 OPCW는 조사 협력 의사 '압박'
中, 南 사드부지 계약 체결 당일 北 외무성 부상 '초청'
中, 北에 도발 자제 요구할듯…'북한 안 버린다' 신호 의미도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김정남 암살에 화학무기용 신경작용제 VX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제사회의 공분이 커지자 다급해진 북한이 외교적 탈출구를 모색하고 나섰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이 북한 당국의 개입 하에 암살된 정황만 드러났을 때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반(反) 인도성에 주목하는 분위기였지만 암살의 도구로 VX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자 국제사회의 반응은 차원이 달라졌다.
188개 회원국을 둔 국제기구인 화학무기금지기구(OPCW)는 27일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화학무기 사용은 심각히 우려스러운 상황이고 OPCW는 전문가 파견과 기술 협력을 통해 (조사에)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비록 북한을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화학무기 관련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가 OCPW가 화학무기금지협약 비가입국인 북한과 관련한 사안에 성명을 낸 것은 이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27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때 밝혔다.
더불어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화학무기 공격은 화학무기 사용에 반대하는 오랜 국제규범인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인간의 기본적 예의에 대한 끔찍한 위반"이라며 "깊이 우려한다"고 밝혔다.
작년 두 차례 핵실험으로 전례없는 외교적 고립에 처한 북한이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 등재될 경우 국제사회에서 추가적인 이미지 악화와 고립 심화를 감수해야 할 전망이다.
여기에 더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김정남 사건을 정면으로 거론하며 북한의 반인도주의적 성향을 규탄했고, 참석자들은 대부분 자리를 지킨 채 경청했다.
이 같은 국제사회의 반응은 화학무기가 그 자체로 핵무기에 버금갈 만큼 위험하며, 테러세력의 손에 들어갈 경우 재앙이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고위 당국자를 중국과 말레이시아에 파견한 것은 초청자가 어느 쪽이었냐를 떠나 큰 틀에서 보면 외교적 고립에서의 탈출 시도로 보인다.
북한은 28일 리길성 외무성 부상을 중국으로, 리동일 전 유엔대표부 차석대사를 포함한 고위급 대표단을 말레이시아로 각각 보냈다.
북한 입장에서 리 부상의 방중은 중국이 한동안 보호해온 김정남 암살에 관해 설명하고 이 사건이 양국관계에 악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점을 확인받으려는 시도로 읽힌다.
또 리 전 차석대사를 말레이시아에 보낸 것도 '단교'까지 거론되는 등 격렬하게 끓어오르는 말레이시아 내부의 반북 여론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김정남 암살에 대한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가운데, '마지막 우군'인 중국과 그나마 남북한 사이에서 중립을 지켜온 동남아를 붙들어두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경찰의 수사 결과가 점점 북한 김정은 정권의 조직적 범죄였음을 확고히 하는 쪽으로 전개될 경우 북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대북 규탄 여론은 더욱 강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북한 대표단을 초청하고,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리 부상을 만나기로 한 것은 흥미롭다. 미국으로부터 대북 영향력 행사 압박을 받는 중국이 리 부상 일행을 상대로 추가 도발을 자제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넣을 수 있다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동시에 전례없는 고립 위기에 처한 북한의 고위 외교관을 받아주는 모양새를 연출한 것은 미중간의 전략경쟁 구도 속에 북한을 쉽게 내치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 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보인다.
롯데가 중국의 거센 반발과 보복 위협 속에 27일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부지 제공을 결정한 직후 중국이 북한 대표단을 받아들인 것은 한미를 향한 메시지의 측면도 없지 않아 보인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