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늙어가는 서울] ② 낡은 지하철 바꾸고 도로·교량 손본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늙어가는 서울] ② 낡은 지하철 바꾸고 도로·교량 손본다

'도로함몰 주범' 하수관로 2019년까지 정비…동공 메우기 계속

안전등급 'C' 이하 교량 등 시설물 56개 집중 정비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김동규 이태수 기자 = 지하철·도로·교량 등 주요 인프라 노후화로 안전에 '비상등'이 켜지자 서울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노후 시설물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 실태 점검으로 드러난 위험요인을 제거하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책을 마련했다.

모두 막대한 예산이 드는 계획이지만,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서울의 미래가 위험하다는 경고가 대책에 담겨있다.





◇ '시민의 발' 노후 지하철 620량 교체·선로 53.2㎞ 내진 보강

시는 지하철 안전 확보를 위해 2020년까지 낡은 전동차 620량을 교체할 계획이다. 또 2020년까지 지하철 시설 21개를 개선한다.

시 관계자는 18일 "서울 지하철 1∼4호선은 개통 후 40년 이상 지나 궤도 등 시설물 대부분과 전동차 일부가 25년을 넘겨 중대한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며 "재난·안전 강화를 위해 신규 건설 수준의 재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우선 8천370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2호선 470량과 3호선 150량 등 노후 전동차 620량을 교체한다.

내년까지 1차로 2호선 200량을 바꾸고, 이후 2020년까지 2호선 224량을 교체한다. 2호선 나머지 46량과 3호선 150량은 이후 3년간 바꿀 계획이다.

1호선 전동차는 대수선 후 연장 사용하기로 했다. 4호선은 정밀 진단을 하고 있다.

2020년까지 1∼4호선 구간 총 146.8㎞ 중 116.5㎞ 구간의 노후시설 개선을 위해 총 1조 3천552억원을 들이는 계획도 세웠다.

시설 개선 대상은 변전소 전력설비, 열차 신호장치, 역사설비 등 7개 분야 21개 시설이다.

지난해 경주 지진으로 관심이 높아진 내진 설계도 보강한다.

서울 지하철은 1∼4호선 146.8㎞ 구간 중 53.2㎞(고가·교량 20.2㎞, 지하 33㎞)에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총 사업비 3천220억원을 들여 2020년까지 보강 공사를 끝낼 예정이다.

고가 구간은 지진에 강한 받침을 더하고, 고가 정거장 구간은 기둥 섬유를 보강한다. 지하 구간에서도 기둥과 벽체 등을 더 튼튼하게 만들 예정이다.





◇ 노후 하수관로 2019년까지 정비…매년 1천100억 들여 도로 보수

도로함몰의 주범으로 꼽히는 노후 하수관로도 정비한다.

시는 30년이 넘은 하수관로 5천260㎞ 중 절반인 2천720㎞를 내년까지 우선 조사한다. 2019년까지는 도로함몰 주요결함 정비를 마칠 계획이다.

작년 4월까지 1천393㎞ 구간에 대한 1차 조사를 마쳤고, 내년까지 나머지 1천327㎞를 2차 조사한다.

1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298㎞ 구간은 당장 손을 봐야 할 것으로 시는 추정했다.

도로함몰과 직접 연관이 있는 관 붕괴, 관파손, 관천공, 침입수 등 주요결함 5가지에 대한 공사도 217㎞ 구간에서 한다.

5가지 주요결함 공사에 2천880억원, 환경부 기준에 따라 긴급보수가 필요한 공사에 1천77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일반보수가 필요한 구간까지 합하면 정비가 필요한 구간은 1천500㎞에 달한다.

1차 조사에서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온 775㎞를 손 보는데 1조원, 2차 조사 구간까지 정비하려면 2조원 가량이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

포트홀·균열 등으로 인한 도로 정비에도 10년간 매년 1천100억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도로 신설·복구 시에 1등급 골재를 사용하고 도로 강도를 높여가며 도로함몰, 소성변형 등에 대비한다.

최고 영상 64도, 최저 영하 22도까지 견디도록 정한 국토교통부 지침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해 최고 영상 82도까지 견딜 수 있는 도로로 만든다.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는 동공도 복구한다.

작년까지 발견한 동공 572개 중 491개를 복구대상으로 분류해 지금까지 256개 복구를 마쳤고, 올해 나머지 235개를 복구한다.

시는 올해 동공 500개를 복구할 수 있는 예산을 확보, 안전을 위협하는 동공을 발견해 정비한다.







◇ 정릉천고가 같은 결함 없도록…"서울 교통량 많아 피로도 가중"

교량 등 도로시설물 가운데 C등급 이하인 56곳을 올해 집중 정비한다.

시가 직접 관리하는 시설물 중에는 성산대교, 양화대교, 탄천2교 등 20곳이 해당한다.

1977년 준공된 안양교와 1978년 만든 장안교는 이미 철거·전면교체 공사가 진행 중이고, 1968년 준공된 목동교, 1980년 놓인 성산대교 등은 보수·보강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작년 문제가 발생한 정릉천고가와 같은 PSC 공법으로 건설한 교량은 매달 점검하며 같은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

시는 법이 정한 대로 시설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은 5년에 1번, 정밀점검은 2년에 한 번씩 하고 있다.

여기서 시급한 결함이 발견될 경우 즉시 보수 공사를 하고, 공사 규모가 크거나 시간을 두고 보강해도 되는 경우는 내년도 예산 편성에 반영해 보수를 진행한다.

교량의 하자 기한은 준공 후 10년이다. 이 기간이 지나면 바로 보수 공사를 시작하는 만큼 대부분 교량이 관리 대상이다. 잦은 점검으로 안전에 문제가 있는지 미리 파악해야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서울시는 교량 관리에만 올해 728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내년부터 2024년까지는 1천55억∼1천838억원 규모의 유지관리 비용이 매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유지관리 체계라면 교량 노후화가 본격화하는 2025년부터는 재정 부담이 3천억원 이상으로 껑충 뛸 전망이다.

교량 수명 연장과 중·장기 재정 부담을 낮추기 위해 예방 차원의 유지관리가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예산이다.

매년 큰돈이 들어가는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시 살림을 짜내야 하고, 예산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시급한 보수·관리만 가능한 것이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 교량·시설물의 경우 워낙 많은 교통량으로 하루가 다르게 시설물 피로도가 가중된다"며 "이 시설물들도 모두 국가 기반시설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