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이벤트에 맞춘 北김정은의 도발 '택일'
北 매체 "김정은, 시험발사 날짜 직접 정해"
관심 극대화·국제사회 압박에 저항 측면 의식한듯
"기술적 필요가 본질…시기는 부차적 문제"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근래 북한 핵 및 미사일 도발의 '택일'에서 중요한 외교 회의 계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12일의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 '북극성 2형' 발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미국시간 10일·한국시간 11일) 다음날 이뤄졌다.
북한의 도발 자제를 강하게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정상회담 공동성명이 나온 다음 날이었고, 발사 소식은 두 정상이 만찬을 하는 시간대에 전해졌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시험발사 날짜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정했다.
앞서 작년 핵개발 전용 우려가 있는 원자력 관련 물품의 국제 수출통제 체제인 원자력공급국그룹(NSG) 회원국들이 서울에서 총회(작년 6월20∼24일)를 개최한 기간인 6월 22일 오전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제5, 6차 발사가 있었다.
또 작년 7월 19일 북한이 동해로 노동 미사일 2발과 스커드 미사일 1발을 발사한 것은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아셈·2016년 7월 15∼16일, 몽골 울란바토르) 종료 사흘 뒤였다. 당시 아셈 정상회의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강력 규탄하는 내용의 의장성명이 채택된 바 있다.
아울러 북한이 신포 인근 해상에서 동해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쏜 작년 8월 24일은 도쿄에서 한일중 3국 외교장관 회의가 열린 날이었다.
더불어 북한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삼아 작년 9월 5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린 한중 정상이 회담한 직후 동해로 노동 계열로 추정되는 탄도 미사일 3발을 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작년 9월 6일), 일본(작년 9월 7일)과 각각 양자 정상회담을 열어 대북 공조 강화를 다짐한 직후인 작년 9월 9일 제5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외교가에서는 북한 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우려를 극대화할 수 있는 측면, 각종 외교 이벤트에서 나오는 대북 압박 메시지에 대한 저항 측면 등이 '택일'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 대학원대학교 교수는 13일 "북한이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해 외교적 이벤트에 (도발 시기를) 맞추는 경우가 있다"며 "이번 미사일 발사의 경우 북미간 긴장 국면에서 대화 국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관심도가 극대화될 시점을 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핵무기 실전 배치를 위해 '일로매진'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필요에 따라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기 위한 맥락에서 핵무기 운반 수단을 쭉 개발하면서 기술적 필요에 따라 미사일 발사를 하는 것 같다"며 "결국 기술적 준비가 되면 쏘되, 각종 외교 이벤트를 필요에 맞게 활용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외교가는 오는 16∼17일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 회의(독일 본)와 그것을 계기로 열리는 한미 외교장관 회담,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특별 세션(18일)이 포함된 17∼19일 뮌헨 안보회의 등을 계기로 삼아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설지 주목하고 있다. 더욱이 16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 '광명성절'이어서 대외적 뿐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추가 도발에 나설 이유가 있다고 일각에서는 보고 있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