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 결국 '사과·도미'…"安의 중도개척은 좋은 일, 경선엔 한계"
심리적 압박에 반전 모멘텀 찾기 부심…탄핵정국 분위기 재가동 총력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여야 대선주자 중 선두를 달리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잇단 '돌발 악재'에 직면했다.
경선 캠프 사령탑인 송영길 의원이 문 전 대표의 대표적인 공약인 일자리 정책을 비판한 데 이어 영입인사인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의 잇단 구설 논란이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경쟁자인 안희정 충남지사의 지지율이 급등하면서 당내 경선판도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고개를 들고 있다.
송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후보는 저"라며 일단 논란이 불식된 상태다. 문 전 대표 측도 "생각 차이는 조정될 것"이라고 말해 더는 문제가 확대되지 않았다.
하지만 문 전 대표가 '특별영입'이라고 소개한 전 전 사령관 문제는 거의 매일 새로운 소재가 등장하며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부인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의 법정구속과 진급 파티에서 부인 학교 직원 동원이 사실이라는 대법원 판결에 이어 급기야 5·18 발언까지 나온 상태다.
전 전 사령관은 전날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발포를) 지시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지휘 체계가 문란했던 점이 잘못"이라고 말하면서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이 발언을 놓고 호남을 근거지로 한 국민의당이 공식 논평을 내면서 반발하고 SNS상에서도 비판성 글들이 쇄도하면서 문 전 대표 측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급기야 전 전 사령관은 10일 공식 사과하고 연수 중이던 미국으로 건너가 문 전 대표를 측면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논란 불식에 나섰다.
그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의도치 않게 저의 부족과 불찰로 누를 끼치는 것 같아 안타깝고 죄송한 마음"이라며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존경과 전두환 전 대통령이 무한책임이 있다는 생각에는 한치의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우리와 상의한 게 아니다"라고 했다.
부인인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이 최근 횡령 혐의로 법정 구속된 상황에서 그를 챙겨야 할 남편이 연수 중이던 미국으로 건너가겠다고 밝힌 것은 그가 이 사태의 파장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여기에 이날 발표된 갤럽 대선 여론조사에서 안 지사가 19%로 급등한 데 반해 문 전 대표는 오차범위이긴 하지만 3%포인트 하락한 29%를 기록했다.
연이은 내부 악재에 안 지사의 대추격으로 심리적인 압박감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자칫 이런 흐름이 조기에 차단되지 않으면 조만간 안 지사가 문 전 대표를 역전할 수도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문 전 대표 측은 "좋은 일"이라는 표면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문 전 대표가 공략하지 못한 중도·보수 영역을 안 지사가 개척해 결국 본선에서 큰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는 안 지사의 지지율 급등은 중도보수와 충청 표심 흡수에 따른 것으로, 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장악한 진보층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민주당 경선에서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된 갤럽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안 지사(20%)가 문 전 대표(57%)보다 지지도가 한참 저조했다.
이런 측면에서 한 인사는 "이재명 시장이 떴을 때보다는 낫다"고 했다. 지지층이 겹치는 이 시장의 상승은 문 전 대표의 하락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관계자는 또 "보수 후보가 결정되면 안 지사 쪽으로 이동했던 보수층이 원대 복귀할 것"이라며 '안풍'(安風)이 지속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안 지사의 급상승에도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이 상당 기간 박스권에 갇혔다는 부분은 불안 요소다.
이 때문에 문 전 대표는 지지율 반등을 위한 모멘텀 찾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장 탄핵지연 조짐에 따른 촛불 정국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대중들이 적폐청산의 대표주자로 인식한 결정적 계기였던 탄핵정국 분위기를 되살려 지지층을 결집하겠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0//AKR20170210087451001_03_i.jpg)
honeybee@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7/02/10//GYH20170210000700044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