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올해 최대 글로벌 리스크는…기상이변·난민·테러"(종합)
빈부격차·기후변화·양극화 대응이 10년 성장경로 결정
향후 기업경영 리스크는 실업·불완전고용, 에너지 쇼크 등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올해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글로벌 리스크로 기상이변과 난민, 대규모 테러가 꼽혔다.
향후 10년간 전 세계의 성장경로를 결정할 트렌드로는 빈부격차 확대와 기후변화, 양극화 심화 등이 지목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은 다음 주 개막을 앞두고 11일(현지시간) 내놓은 '글로벌 리스크 2017'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WEF는 경제와 사회, 지정학, 기술 등 각 분야 전문가 745명을 상대로 30개 글로벌 리스크 중 올해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리스크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기상이변이 1위였다고 밝혔다. 2~5위로 각각 비자발적 대규모 이민, 자연재해, 대형테러, 대대적인 데이터 사기나 절도가 꼽혔다.
전문가들은 발생 시 가장 영향력이 큰 리스크로는 대량살상무기, 기상이변, 물부족 위기, 자연재해, 기후변화 완화 적용 실패 등을 꼽았다.
향후 글로벌 리스크를 증폭시켜 10년간 전 세계 성장경로를 결정할 트렌드로는 빈부격차 확대, 기후변화, 양극화 심화, 사이버 의존도 심화, 고령화를 꼽았다.
전문가들은 리스크들 간에 상호연관성이 큰 리스크로는 '실업과 사회적 불안정'을 꼽았다. 이어 '비자발적 이민과 국가의 몰락 또는 위기', '기후변화 대응실패와 물부족', '국가 행정 실패와 사회적 불안정', '국가간 분쟁과 비자발적 이민' 등이 상호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WEF는 보고서에서 이미 불평등 확대와 양극화 심화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을 불러왔다면서, 전 세계 지도자들이 앞으로 고난과 불안에서 벗어나려면 이런 트렌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계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더디게 회복하면서 빈부격차가 커지고, 경제적 불안감이 고조돼 포퓰리즘 정당이 부상했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브렉시트와 트럼프로 대변되는 서구사회의 반체제 주의는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극우정당의 지지에 힘입어 널리 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미국과 영국 등 주요 국가에서 상위 1%가 벌어들인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에 비해 2배 이상 확대됐다. 미국은 10%에서 22%로, 중국은 5.6%에서 11.4%로, 영국은 6.7%에서 12.7%로 각각 늘었다.
클라우스 슈밥 WEF 설립자는 보고서 서문에서 "저성장 지속과 산더미 같은 부채, 인구구조 변화는 글로벌 금융위기나 불평등 확대가 초래되기 쉬운 환경을 만들고 있다"면서 "만연한 부패와 단기적 이익 추구, 성장 이익의 불균등한 분배는 자본주의 경제모델이 제역할을 못하는 것 아니냐는 추정을 낳고 있다"고 말했다.
WEF는 보고서에서 "소득과 자산 분배를 둘러싼 우려는 점점 더 정치적으로 파괴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면서 "보다 많은 사람의 삶을 좌우하는 재정불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좀 더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WEF는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양극화가 결부되면 글로벌 리스크가 고조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는 우리 경제적 정치적 시스템이 기반을 둔 사회적 연대를 파괴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WEF가 전세계 135개국 기업 간부 1만3천340명을 상대로 29개 글로벌 리스크 중 향후 10년간 기업경영에 있어 최대로 우려되는 리스크 상위 5개를 물은 결과, 실업 또는 불완전고용, 에너지가격 쇼크, 재정위기, 행정실패, 사회적 불안정성 등을 꼽았다.
한국 기업 간부들은 복수응답 결과, 실업 또는 불완전고용(76.8%), 재정위기(51.5%), 자산버블(50.5%), 금융기관 실패(33.3%), 국가간분쟁(30.3%), 디플레이션(28.3%) 등을 리스크로 지목했다.
이번 보고서 내용은 오는 17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막하는 WEF 연례포럼에서 논의된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