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부산 40년 노후 학교건물 300여동…안전확보 '비상'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산 40년 노후 학교건물 300여동…안전확보 '비상'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부산 40년 노후 학교건물 300여동…안전확보 '비상'

교육청, 노후건물 개선사업 전담팀 구성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부산에 40년이 지난 노후 학교건축물이 300여 동에 이르고, 매년 23개동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노후 학교건물 안전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10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초·중·고·특수학교 636개교 1천480동 가운데 1월 현재 40년이 지난 노후건축물은 179개교 292동이다.

특히 해마다 평균 12개교 23동이 늘어나 오는 2020년에는 40년 지난 노후 건물이 228개교 384동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 확보 문제가 현안으로 떠올랐다.






부산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의 교육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1970년대에 많은 학교가 설립됐다.

올해부터 건립 40년에 도달하는 건축물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해 2020년이 되면 노후건축물 비율이 전체 학교의 26%에 이른다.

노후 건축물은 건물 안전성 문제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시설 설치의 어려움 등 기능적 문제, 잦은 개·보수로 인한 예산의 비효율적인 투자 문제를 낳고 있다.

시시때때로 이뤄지는 보수 공사로 학습활동 지장도 초래한다.

부산교육청은 이 같은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노후건축물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노후건축물 전담팀에는 기술직 공무원 13명과 시설예산 담당공무원 2명이 참여한다.

전담팀은 노후 학교건축물의 구조 상태와 경제성 등을 반영한 개·보수 표준모델(개축, 집중 리모델링, 일반수선 등)을 개발해 효율적인 개선사업추진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적정한 개축 시기, 규모, 예산 확보 방안 등 세부적인 계획을 짜기로 했다.

개·보수 계획뿐만 아니라 학교 간 통·폐합을 검토한 예산투자 방안을 모색하고 학교시설 유지관리에 필요한 매뉴얼도 새로 마련한다.

김문기 부산시교육청 교육시설과장은 "학교 노후 건축물은 급격히 늘어나지만 개·보수를 위한 예산은 한정돼 있어 학교안전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다"며 "전담팀이 구성되면 장기적인 종합계획 아래 체계적인 업무추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ljm70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