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비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는 물론 국공립대까지 대학교 등록금이 올랐고, 유치원비도 9년여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아직 등록금을 올리지 않은 대학교들도 인상에 나서면 교육물가 상승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교육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를 0.21%포인트(p)를 끌어올리면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나타났다.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도 39곳 중 28.2%인 11곳이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라 2009년 2월 7.1%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공립대납입금도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공립대납입금은 2022년 3월부터 36개월 동안 상승률이 0%였다 지난달 처음 올랐다.
다른 교육 물가도 덩달아 올랐다.
유치원납입금 상승률은 4.3%로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유치원납입금은 지역별로 학비 지원 정책이 달라 편차가 컸다.
전남(24.3%),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서울(5.0%) 등에서 크게 오른 반면 울산시교육청의 사립유치원 무상 정책으로 울산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작년대비 74.3%나 하락했다. 충북(-5.7%), 광주(-0.4%)에서도 내렸고 세종·충남·전북은 상승률이 0%였다.
가정학습지 물가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1.1%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내 1996년 12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3월 초등학생학원비(2.0%)·중학생학원비(1.2%)·고등학생학원비(1.0%)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2.1%)보다는 낮았다.
음악학원비(2.2%)·미술학원비(2.9%)·운동학원비(3.9%)는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고 특히 운동학원비는 올해 3% 후반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16년간 이어진 대학 등록금 동결 기조가 무너지면서 나머지 사립대학은 물론 다수 국공립대학까지 연쇄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인상은 내년 2월까지 매달 전년 대비 전체 물가(헤드라인)에 상승 기여로 반영된다"며 "전례상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2학기에 등록금을 올릴 경우 그만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