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의정갈등 장기전에 바이오텍 때 아닌 '인재 범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관련 없음.

"올해 지원자 중 의사 면허 소지자는 지난해보다 3배 많았어요. 이 중엔 전공의가 절반 이상이었고, 합격 통보를 받은 지원자 역시 전공의였습니다."

신약을 개발하는 한 국내 바이오텍 회사 임원의 말이다. 이 곳은 최근 임상연구원을 채용했다. 채용 공고에 기입한 우대사항은 '항암제 임상 경험자'였다. 자격 요건은 생물학 관련자지만, 의사나 약사 면허 소지자인 경우도 가능했다. 평소에는 임상연구원 채용시 의사 지원자가 많지 않은데, 올해 유독 두드러졌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국내 바이오 회사 관계자는 "병원으로 돌아가지 않는 전공의 중 일부가 회사로 눈을 돌리고 있고, 항상 인재에 목마른 바이오 회사들은 쌍수 들고 반기는 격이다"고 말했다.

의정갈등이 해를 넘길 전망이다. 대학병원에서 빠진 전공의들은 해외 면허를 준비하거나 동네 병·의원으로 취업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 제약·바이오 업계로도 눈을 돌린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바이오텍들은 '때 아닌 고급 인력'에 반사 이익을 얻는 셈이다. 실제 임상 경험이 있는 의사들이 지원하니, 뽑지 않을 이유가 없다.

뜻하지 않게 '의사과학자' 커리어패스가 두꺼워지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의사과학자는 의사 면허를 가진 과학자다. 의사로서의 임상 경험을 가지고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개발에 참여한다. 특히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회사에서는 필요한 인재다. 미국에서는 해마다 배출되는 의사과학자의 수가 1,700명 수준으로 적지 않지만 한국은 연간 30명 수준으로 매우 적다.

제약·바이오회사에 의사과학자가 있으면 임상 분야 전문가가 합류하는 만큼 신약 개발 등의 가능성이 커진다. 실제로 상위 글로벌 제약사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의 대부분은 의사과학자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급여 차이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정부에서도 의사과학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의사과학자 양성 전략(연간 의대 졸업생의 3% 수준으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겠다는 목표)을 펼치고 있지만, 지원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전문가는 "의사과학자 양성은 국가적으로도 필요한 문제"라며 "의사과학자가 늘어나는 상황이 유쾌하거나 뜻하지 않은 부분에서 시작되더라도, 산업 발전을 위해 빠르게 지원·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