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0911/B20240911155605800.jpg)
미국 기술주들의 실적 딱히 나쁘지 않지만, 가이던스에 대한 실망, 차익실현 압박에 간밤 뉴욕증시 하락 두드러졌습니다.
*뉴욕증시 마감 (현지시간 31일)
S&P500 108.22p(-1.86%) 내린 5,705.45
나스닥 512.78p(-2.76%) 내린 18,095.15
다우 378.08p(-0.90%) 내린 41,763.46
*한국증시 마감 (1일)
코스피 13.79p(-0.54%) 내린 2,542.36
코스닥 14.01p(-1.89%) 내린 729.05
미국 물가, 고용 지표들은 연준의 점진적 금리 인하를 지지했습니다.
간밤 금리와 달러인덱스가 소폭 내린 가운데, 우리시간으로 오늘밤에는 고용보고서, 제조업 PMI가 발표됩니다.
*美 고용보고서
(실업률) 7월 4.3% → 8월 4.2% → 9월 4.1% → 10월(예상) 4.1%
(비농업 신규고용) 7월 8.9만명 → 8월 15.9만명 → 9월 25.4만명 → 10월(예상) 10.6만명
*美 ISM 제조업 PMI
7월 46.8 → 8월 47.2 → 9월 47.2 → 10월(예상) 47.6
1일 마켓인사이트에서는 조상현 현대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과 11월 투자전략 세워봤습니다.
*주요 이벤트 (한국시간)
-美 10월 고용보고서 (11월 1일 밤)
-美 10월 ISM 제조업 PMI (11월 1일 밤)
-美 대선 투표 (11월 5일 밤)
-美 11월 FOMC 결과 (11월 8일 새벽)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01/B20241101172820627.jpg)
<한국경제TV 마켓인사이트>는 증시가 열리는 매일 오전 11시 생방송으로 진행됩니다. 투자에 대한 조언일 뿐 판단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 체력 떨어진 한국증시
통상 연말 강세장이 나타난다고 하지만 올해는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
곧 미국 대선 구간에 진입하고 FOMC도 연달아 따라옵니다. 우크라이나, 중동, 북한 등 지정학적 리스크, 금투세 불확실성까지 변동성 요인들 상당합니다.
*변동성(VIX) 지수 (미국 시간)
10/30 20.35p → 10/31 23.16p
조상현 본부장은 "11월 시장, 좀 더 연장해서 12월 연말까지도 지수를 끌어올릴만한 좋은 상황은 아니다"라며 "기업들의 실적이 안좋기 때문에 저평가 영역에 돌입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라고 조심스럽게 진단했습니다.
● 수출도 둔화 국면
이날 발표된 10월 수출은 '13개월 연속 증가세'로 좋게 포장됐지만 세부 내용은 다릅니다. 수출액 증가율은 하반기 들어 둔화되고 있고 조업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은 13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10월 포함 수출 추이 (산업부 제공)](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01/B20241101174018720.jpg)
조상현 본부장은 "올해 10월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는 적어도 수출에 대한 기저 부담이 높은 구간에 진입해 있어서 수출 모멘텀 자체가 상당히 약하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기약 없는 체력 회복
그렇다면 언제 펀더멘털 회복을 기대해볼 수 있을까요?
조상현 본부장은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 대비 둔화되고, 코스피 상장기업들의 이익 증가율도 올해 40~50%, 내년 20% 정도로 추정된다"며 "내년이 아닌 2026년 회복될 수 있다는 그림이 보여진다"고 전망했습니다.
따라서 "당장 연말·연초에 상승을 바라보고 매집할 것이 아니라 좀 더 길게 내년 하반기까지 보고 공부를 많이 해왔던 기업들이나 업종을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맞을 것 같다"고 조언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01/B20241101173503247.jpg)
※ 전체 방송 내용은 마켓인사이트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0726/B2024072616110709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