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부터 위기설이 돌았던 저축은행업계, 올 들어 처음으로 연체율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전성 우려는 줄어든 것인지, 취재기자와 만나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경제부 장슬기 기자 나와있습니다. 장 기자, 지난해부터 꾸준히 올랐던 저축은행 연체율이 올해 처음으로 떨어졌습니다. 건전성이 얼마나 개선된 겁니까?
<기자>
올해 2분기, 6월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업권의 연체율은 약 8.3%로 잠정집계됐습니다. 지난 3월말(8.80%)과 비교했을 때 0.5%p 하락한 수치입니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 2021년 12월 이후 계속해서 오르다가 10분기 만에 첫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앵커>
그 동안 계속 안 좋았는데, 갑자기 연체율이 떨어진 이유는 뭡니까?
<기자>
각 저축은행별로 자체적인 건전성 관리방안을 꾸준히 추진해온 것도 있지만, 업계 전반적으로 부실채권 매각에 속도를 낸 것이 주효했습니다.
저축은행업권은 부동산PF 정상화 펀드를 두 차례 조성해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3,300억 원과 5,100억 원의 PF 부실채권을 정리했습니다. 여기에 부실채권 투자전문회사를 통해 업계가 매각한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 규모도 1,360억 원으로, 모두 합하면 올 상반기에만 1조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털어낸 겁니다.
<앵커>
그렇다면 저축은행의 건전성, 안심할 만한 수준으로 봐도 되는 겁니까?
<기자>
수치가 소폭 개선됐다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악재들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저축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열심히 털어내곤 있지만, 그 만큼 또 빠르게 쌓인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특히 저축은행업권의 가장 취약점으로 꼽히고 있는 부동산PF의 경우 금리 기조와 부동산 경기가 뒷받침을 해줘야 하는데 현재까진 빠른 변화가 예상되진 않는 상황이고요.
여기에 금융당국에서 이달 초 진행한 PF사업성 평가에서 부실우려 등급의 사업장이 확대되면 부실채권 규모가 또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PF가 아니더라도 현재 저신용자들의 전반적인 상환능력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저축은행업권의 건전성 개선이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당국의 추가 대책은 없습니까?
<기자>
여전히 악재가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금융당국은 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조금 전 말씀드렸던 저축은행 자체 PF 정상화 펀드도 최근 세 번째 조성을 앞두고 있었는데, 당국이 매각 저축은행과 펀드 출자자로 나선 저축은행이 상당부분 일치한다는 점을 문제로 삼고 제동을 건 상태입니다. 쉽게 말하면 부실을 이연하는 도구로 펀드를 활용하지 말고, 제대로 매각하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자기자본규제를 은행 수준으로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어 금융권에서는 당국이 본격적인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해 칼을 빼든 것 아니냐, 이런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더라도, 시장 반응은 냉담하지 않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시장에 매물로 나와있거나, 잠재적 매물로 거론되는 저축은행들이 많지만 살 사람이 없는 게 문제입니다. 저축은행의 업황도 좋지 않고 당국의 규제도 날로 강화되고 있는 만큼 인수자 입장에서는 돈을 쓰기에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당국이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한 M&A 요건을 완화했는데, 추가적인 규제 완화카드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경제부 장슬기 기자였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