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한국서 '이것' 하면 절친된다"...외신 주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서 '이것' 하면 절친된다"...외신 주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정기적으로 돈을 갹출해 모으는 한국의 계모임 문화를 보도했다.

NYT는 계모임을 'gyemoim'으로 적고 이를 영어로는 '저축 그룹'(saving group)이라고 번역했다. 이 매체는 "한국에서는 친구들이 휴가와 식사, 기타 사교 활동을 위해 저축하는 계모임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전했다.

실제 계모임을 하는 한국인 김모(32)씨와 이모(35)씨의 사례도 등장했다. 전직 교사이자 주부인 김씨는 2014년 한 모임에서 만난 두 친구와 만든 계모임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10년간 300만원 이상을 모은 이들은 이 돈으로 지난해 가을 다 같이 부산의 리조트로 여행을 다녀왔다. 각자 일과 가족 등으로 바빴지만, 계모임 덕에 가까운 사이를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영어학원 조교로 일하는 이씨는 고교 시절 친구들과 매달 5만원씩 내는 계모임을 한다. 이들은 모은 돈을 일 년에 몇 번씩 만나 고기를 먹고 치맥 모임을 하는 데 사용한다.

이씨는 "처음에는 그냥 놀려고 모였는데 모두 일을 시작하면서 미래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됐다"며 "그래서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인생의 중요한 행사를 할 때도 서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NYT는 한국의 계모임이 가능한 이유로 한국 특유의 교류와 신뢰의 문화를 꼽았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서울의 한 커피숍에 가서 가방, 노트북, 신용카드와 현금이 가득 든 지갑을 자리에 그대로 둔 채 화장실에 가도 된다"며 "(돌아왔을 때) 그 물건이 다 있을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NYT는 전했다.

신은철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는 만약 자신이 오래 알던 친구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않으면 그 친구가 다른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알릴 것이고, 자신은 지역사회에서 배척될 것이라며 한국 사회의 집단적 성격을 설명했다.

NYT는 한국에 계모임 관행에 맞는 계좌 상품이 있다며 예금주가 친구들과 계좌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의 '모임 통장' 서비스도 소개했다.

신 교수는 "이런 관행은 금융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마을에서 돈을 모으고, 물품을 구입하고, 수확물을 나누던 것에서 사람들이 우정을 유지하고 공동체를 단결시키는 수단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NYT은 "계모임을 잘 작동하게 해 주는 문화적 전통이 서구 문화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참여하는 사람들을 잘 알지 못한다면 (계모임과 같은) 공동 자금 운용은 (미국에선) 약간의 도박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