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동산 PF 부실 속에, 저축은행들의 위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출구전략으로, 인수합병, M&A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현재 매물만 계속 쌓이고 있는 데, 금융당국이, 서둘러 교통 정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한계에 내몰리는 저축은행.
지난 1분기 79곳 1,543억 당기순손실 등 역성장으로 신용등급 하락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출구 전략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인수합병(M&A)이 대안으로 부각됩니다.
예상되는 M&A 매물로 OSB저축은행, 한화저축은행, HB저축은행, 조은저축은행에 이어, 에큐온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등도 거론됩니다.
관건은 부동산PF 부실채권(NPL) 정리 속도입니다.
그간 부실채권이 '뇌관'으로 M&A 발목을 잡아왔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부동산PF 연착륙 방안'에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가 붙어 M&A 시계가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김상봉 / 한성대 교수 : 작은 저축은행들 위주로 M&A가 활발해질 것 같습니다. PF 부실을 많이 들고 있는 저축은행 경우 시장에 나올 수 있습니다. 항상 위기가 오면 대형화되는 게 추세입니다. ]
다만, 모든 저축은행이 M&A 시장에서 각광을 받는 건 아니란 점에서 자산부채 이전(P&A) 방식부터 체질 개선까지 다양한 전략을 검토해야 한단 분석이 제기됩니다.
[ 이민환 / 인하대 경영대학원장 : 획기적으로 개선하지 않는 이상 똑같이 반복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어떤 모형으로 성장할 것인가에 대한 확신이 들기 전까지 (모든) 매물이 소화될지는 불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
PF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유상증자와 자산매각 등을 추진한 메리츠캐피탈 사례를 볼 때 캐피탈 등 다른 중소금융도 한계에 봉착한 가운데, 때늦은 구조조정을 막기 위한 당국의 대안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 입니다.
영상취재 김영석
영상편집 김민영
CG 서조슈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