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하는 관세를 25%에서 100%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중국은 새 법을 만들어 보복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했는데, 미국의 관세 장벽이 새로운 무역전쟁의 촉매가 될지도 관심이 쏠립니다.
중요한 건 우리 산업계에 미칠 영향이겠지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장벽 이후 가능한 시나리오, 신인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그동안 미국에서 팔리는 중국 전기차에 매겨지는 관세는 25%였습니다. 미국은 이 관세를 100%로 올릴 계획입니다.
이같은 높은 관세 장벽은 지난주 나온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보고서의 시나리오에 적용된 것보다도 강력한 수준입니다.
국제무역위원회는 미국과 주요국들이 전기차 관세를 20% 인상한다면 중국 전기차의 대미 수출이 63%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관세 장벽으로 중국 전기차 수출이 줄어들면, 한국 전기차의 세계 수출은 10%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미국에선 바이든 행정부가 전기차 부품까지 관세장벽을 적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미국의 투자전문매체 배런스는 이 경우 미국과 일본, 한국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부품 수요가 분산될 수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중국은 이같은 관세 장벽을 멕시코나 캐나다에 공장을 짓는 방안으로 우회하려 하지만 미국은 이같은 우회수출을 제재하는 방안 역시 논의중입니다.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좁아진다면 당장 우리 산업계엔 나쁘지 않다는 분석들이 나오지만, 중장기적인 숙제도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권용주 국민대 교수 : 전기차는 지금 민족주의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기 때문에 훗날에는 부품까지 어디서 조달했느냐를 볼 수밖에 없을 겁니다. 중국의 부품 공급망 의존도를 어떻게 탈피할 것인지도 같이 고민을 해야 되겠지요.]
또 하나의 불안 요인은 중국의 무역 보복입니다. 올해 말부터 시행되는 중국의 새 관세법은 중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긴 나라의 상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도록 합니다.
미-중 무역갈등이 본격화되며 공급망 혼란이 가중됐던 지난 2018년의 위기가 재연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