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달 연속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특히 수출 호조세로 한국경제의 회복 조짐이 확대되고 있다며 기존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다만, 소비 둔화·건설투자 부진 등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월호'에서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경기 회복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데서 더 낙관적으로 바라본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까지 '경기 둔화'라는 진단을 내린 데 이어 8월부터 '경기 둔화 완화'라고 평가하는 등 한국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진단의 핵심 근거는 '수출 호조'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에 비해 5.1% 증가한 576억6천만달러로 석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또 이달 1∼10일 중국으로의 수출이 20개월 만에 반등하는 등 수출은 개선세가 뚜렷한 모습이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대중(對中) 수출 품목의 30% 정도가 반도체로, 기본적으로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 대중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된다"며 "중국의 추가적 경기 회복에 따라 수출 회복세가 석유화학, 기계, 철강으로 확산하는지 여부가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지난달에 이어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다소 차이가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대면 소비 등이 반영된 11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감소해 두 달째 줄었다.
재화소비를 보여주는 11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1.0% 반등했지만, 1년 전보다는 0.3% 줄었다.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기준 작년 2분기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2월 소매판매의 경우에도 국산 승용차의 내수 판매량이 12%, 할인점 매출액이 2.2% 감소했다.
이 과장은 "소비 같은 경우 고물가·고금리가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데 지난해 하반기 그리고 올해 상반기까지 고금리 영향이 피크(정점)일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상반기까지는 민간소비가 지지부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건설업체의 시공 실적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보다 4.1% 감소했다. 건설수주도 감소해 향후 건설투자가 부진할 것을 예고했다.
정부는 최근 물가 상승세에 대해 '지속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3.2%로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낮아졌다.
이 과장은 "물가상승률은 지금 상반기는 비교적 높은 편이고 하반기 들어서 본격적으로 떨어질 것 같다"며 "또 상대적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의 경우 소비자물가보다 조금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잠재 위험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언급했다. 최근 태영건설 사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민생경제 회복에 최우선 역점을 두면서 부동산 PF 등 잠재 위험의 철저한 관리와 함께 우리 경제의 역동성 제고와 미래세대를 위한 정책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