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난 안전 전문가들은 정부가 강력히 대응해야 할 재난으로 '가뭄·한파·폭염'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진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2일 행정안전부와 행정연구원이 주최한 '제1회 재난안전연구거버넌스 포럼'에서 전문가 설문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국가기관과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민간연구소 등에 소속된 재난 안전 전문가 8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74.1%(복수응답)가 '가뭄·한파·폭염'에 대해 향후 5년간 정부 대응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해 설문에 제시된 44개 재난 사례 가운데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최근 올겨울 가장 강력한 추위가 찾아오며, 전국에서 200여건의 수도계량기 동파사고가 발생했다. 올여름에는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자가 지난해보다 80% 넘게 늘어 3천명에 육박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대응해야 할 재난으로 사업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인적 사고(72.8%), 산불(72.8%), 다중 밀집시설 대형화재(70.4%), 감염병(66.7%) 등을 순서대로 꼽았다.
장기적(5∼10년) 관점에서 위험성이 높은 재난으로는 원자력 안전사고(60.5%)가 꼽혔다. 중기적(2∼5년) 관점과 단기적(0∼2년) 관점으로는 각각 조류 대발생·해양 오염사고(이상 58.0%), 산불(84.0%)을 골랐다.
정부가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한 재난 분야를 묻는 항목에는 60.5%가 감염병과 가축 전염병을 꼽았다. 그 뒤를 이어 사고 화재 위험물 사고(58.0%), 지진·화산·낙뢰 사고(58.0%), 풍수해 사고(50.6%), 철도·도로·터널·항공 등 교통사고(48.1%)가 꼽혔다.
반면 정부가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재해·재난 분야로 54.3%가 '인접 국가의 방사능 누출 사고'를 선택했다. 자연 우주물체 추락·충돌(44.4%), 가뭄·한파·폭염(32.1%), 미세먼지(32.1%), 경기장·공연장 사고(30.9%), 문화재 시설 사고(29.6%) 등이 뒤를 이었다.
박 위원은 "각종 재난·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국가 간 공동체계를 마련하고, 기후재난 저감 대책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라며 "화재 예방을 위한 소방시설 구축을 비롯해 신종 감염병 확산을 막는 범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