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반월연골판이식 클리닉장 이동원 교수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연 300건를 돌파했다. 건국대병원에 따르면 이는 전국 최고(연간 최다) 수준이다. 이동원 교수는 지난해 7월 반월연골판 이식 클리닉을 개설해 반월연골판·전방십자인대 분야에 매진해 왔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최근 중요한 개념은 인대 부착점에 힘줄을 이식, 십자인대의 기능을 복원하는 것이다. 이때 수술 중 '대퇴 터널'이란 부분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는 게 중요하다. 조금만 해부학적 위치에서 벗어나도 인대의 움직임, 긴장도, 성숙 등에 큰 영향을 미쳐서다. 이 교수는 휘어지는 가이드 핀과 확공기를 사용하고 3D CT 검사를 진행해, 대퇴 터널의 정확성을 높혔다.
그동안 대퇴 터널의 위치는 방사선 검사, CT, MRI 등을 통해 측정했다. 하지만 관절경으로 보이는 시야에서는 대퇴 터널의 위치가 정확한 것처럼 보여도 개인마다 뼈의 모양이 달라, 대퇴 터널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만들어진 경우도 많았다. 이를 보완한 것이 3D CT 검사다. 이 교수는 300건 모두에서 수술 후 3D CT를 분석했으며, 이에 대한 유용성을 해외 저널 'Medicina'에 발표하기도 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수술 후에는 재파열을 막는 게 중요한데, 이 교수가 집도한 수술의 재파열률은 2% 미만으로 세계 평균인 5~10%보다 현저히 낮다.
수술 후 재파열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릎 안에 들어간 힘줄이 인대로 잘 성숙되는 것이 중요하다. 힘줄이 잘 생착하기 위해서는 사체에서 기증받은 힘줄인 동종건보다 자신의 몸에서 얻은 힘줄인 자가건을 사용하는 게 유리하다. 이 교수는 대부분의 수술에서 90% 이상에서 햄스트링 자가건을 이용해 재파열율을 낮췄다. 이 교수는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하면 허벅지 앞 근육이 약화된 상태가 2년 이상 지속된다”며 “이 상황에서 허벅지 앞에서 힘줄을 떼면 이 병적 현상이 악화되거나 지속될 수 밖에 없고, 앞무릎도 더 불편할 수 밖에 없어, 허벅지 뒤인 햄스트링에서 채취해 이러한 문제점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교수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숨겨진 파열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해 향후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확률을 최소한 낮추고 있다. MRI만으로는 숨겨진 파열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300례 모두 램프 병변 유무를 확인한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수술 전 통증 없이 관절 각도가 120도까지는 나와야 하고, 정상적으로 보행 가능해야 하며, 허벅지 힘을 준 상태로 무리없이 다리 들어올리기가 20회는 되어야 한다”며 “수술 전부터 치료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건국대병원 스포츠 의학센터 시스템 덕분에 환자들이 치료 만족도가 높았다”고 말했다.
현재 전방십자인대 파열(재건술시)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시행된다면 약 90%까지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