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터질 일만 남았다"…불패 공식 깨진 이유 [불패 신화 깨진 해외부동산②]

고금리에 코로나19까지 엎친 데 덮친 격
해외 상업용 부동산 중심으로 시장 침체
건물 품질보다 장기 임차인에 투자 의존
'우수수' 계약 해지에 손실 직격탄 위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영국 런던 오피스가 수백억 원 손실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 한국경제TV가 단독으로 전해드렸었죠.

한때 수익률에 톡톡히 효자 노릇을 하던 해외 부동산, 이제는 도미노처럼 줄줄이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해외부동산 투자의 실상을 전하는 연속 보도, 오늘은 그 두 번째 순서로 해외 부동산 시장이 왜 위기에 직면했는지 그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김대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56조 원. 올 상반기 기준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입니다.

지역별로는 북미와 유럽 비중이 각각 64%와 20%로 압도적인 쏠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 중 증권사의 투자 금액은 8조 3천억 원으로 전체의 15%에 달합니다.

국내 증권사와 운용사들은 저금리가 한창이던 지난 2017년부터 미국과 유럽 위주로 프라임급 오피스 빌딩 투자에 공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정착하면서 오피스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전 세계적인 고금리 장기화 기조까지 겹치면서 해외 부동산 시장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지난 2분기 기준 미국 주요 도시별 오피스 공실률을 살펴보면 뉴욕을 비롯해 뉴저지, 댈러스 등 사무실 공실률이 모두 20%를 넘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미 국내에서는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한화자산운용, 이지스자산운용 등이 자산 매각에 난항을 겪으며 거액의 투자금을 날릴 위기에 놓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실물자산의 위치나 형태 등 품질을 직접 점검하지 않고, 단순히 우량 장기 임차인만 보고 투자한 것이 해외 부동산 불패 공식이 깨진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이들이 대규모 손실 위기에 처한 것은 대기업이나 금융기관 등 주요 임차인이 나가면서 자산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연기금 관계자: 일단 위치가 제일 중요하고요. 만약에 임차가 비면 다시 임차를 채울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되는데 사실은 (운용 능력이) 없는 데들이 대부분이라서…]

즉, 증권사나 운용사들이 제대로 된 실사 없이 현지 브로커가 전해준 정보에만 의존했던 탓에 줄줄이 부실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겁니다.

대체투자는 한 번 실수하면 돌이키기 어려운 만큼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를 포함한 그 후폭풍이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김대연입니다.

영상취재: 김재원, 영상편집: 김정은, CG: 심재민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