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으로 다가온 미국 연방정부 폐쇄(셧다운) 사태가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연방정부는 약 7%의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10월1일(현지시간) 셧다운이 발생할 경우 직접적 GDP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8년 12월 22일부터 2019년 1월 25일까지 발생한 셧다운 탓에 2019년 1분기 GDP가 0.3%포인트 하락했다는 것이 미 의회조사국(CRS)의 분석이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도 최근 미국에서 셧다운이 발생하면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재정적자 확대와 부채 상환능력 악화로 인해 재정 건전성이 약화하는 상황에서 정치적 갈등으로 인한 셧다운 발생은 미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용평가사 피치는 지난 8월 정치권 갈등에 따른 거버넌스 악화를 이유로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AAA→AA+)하기도 했다.
피치, 무디스와 더불어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로 꼽히는 S&P는 2011년 8월 미국의 부채한도 위기 당시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한 후 지금까지 이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셧다운 위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9월 26일 뉴욕증시에서는 셧다운에 대한 우려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하고 있다.
필수 업무를 하는 공무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무원은 무급 휴직에 들어가는 셧다운은 시장 거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은 최근 셧다운 발생 시 기업공개(IPO) 작업이 중단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EC 임직원 90% 이상이 무급휴직에 들어가기 때문에 IPO 등 일상적인 업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노동부의 실업수당 통계를 비롯해 각 기관이 발표하는 경제 관련 통계의 제공도 중단될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선 셧다운에 대한 공포가 과장됐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연방 정부의 기능 중단으로 일상생활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지만, 경제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2018년 12월 21일부터 역대 최장기간인 34일간 이어진 셧다운의 경우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일부 분석에도 불구하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해당 기간 10.27%나 급등했다.
실제로 1978년 이후 5일 이상 지속된 6번의 셧다운 기간 S&P500 지수의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가장 최근인 2018년까지 4차례 연속 주가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