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69.71

  • 8.02
  • 0.31%
코스닥

768.98

  • 6.85
  • 0.90%
1/5

"5명이 273조원 점검"...부실조사 실효성 '글쎄'

1명당 평균 55조원 대체투자 감사
지나친 전수조사에 부담감만 가중
"대체투자 사후 리스크 관리 한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감사원에 이어 금융감독원까지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가 투자한 대체투자자산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한동안 유행처럼 늘어난 해외 부동산을 비롯한 대체투자 부실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인데 벌써부터 그 실효성에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력 5명이 273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규모의 자산을 제대로 점검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대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73조 원.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의 대체투자 규모입니다.

'대체투자'란 주식과 채권을 제외한 부동산, 인프라, 사모주식, 사모대출 등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저금리 장기화와 안정적인 수익률 때문에 그동안 기관투자가들은 해마다 그 비중을 꾸준히 늘려왔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늘어난 비대면 근무와 금리의 상승반전 때문에 부동산 투자를 중심으로 부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2분기 미국 주요 도시의 오피스 공실률은 17.5%로 선진국 우량 오피스 빌딩 위주로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한 기관투자가들의 피해가 막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원은 이미 연초부터 이같은 상황을 감지하고 각 기관마다 개별 투자건에 대한 자료를 요청해 전수조사를 벌인 바 있습니다.

최근 상황이 악화될 조짐이 나타나자 금융감독원도 지난주까지 연기금과 공제회를 대상으로 해외 부동산 펀드 자료를 집중적으로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한국경제TV 취재 결과, 지난해 연말 신설된 금감원 금융시장안정국 감독정보팀 인력은 총 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제적으로 위험관리 강화에 나선 점은 긍정적이지만, 1명당 평균 55조 원꼴에 달하는 투자자산 점검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A공제회 관계자: 그러니까 지금 뭐 사실 일단 자료 제출만 하는 거죠. 한꺼번에 문제가 터지니까 (금융당국이) 모든 자료들을 다 받기는 하는데 일단 이거 검토하는 데 상당한 기간이 걸릴 거고요.]

특히 대체투자는 자산을 매각하기 전까지 손실액을 산정하기 어려운 구조라서 금융당국이 부실자산을 골라내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입니다.

자본시장 전문가들도 대체투자 특성상 주식이나 채권과는 달리 사후적인 리스크 관리에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강병진 / 숭실대학교 금융학부 교수: 대체투자는 내가 빠져 나오고 싶다고 해서 바로 빠져나오기는 쉽지 않거든요. 그래서 처음에 투자를 할 때 주의 깊게 잘했어야 하는데…일단 일이 벌어지고 난 다음에는 사실 방법은 별로 없죠.]

급격하게 늘어난 대체투자 부실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도 중요하지만 실효성 떨어지는 검사 관행도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대연입니다.

영상촬영: 김영석
영상편집: 이가인
CG: 심유민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