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증권부 신재근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위클리 옵션이 당초 도입 취지와 다르게 일부 개인투자자들의 투기적인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는데요.
위클리 옵션의 변동성이 일반 월물옵션보다 큰데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를 도입한 배경이 뭡니까?
<기자>
빈번하게 발생하는 각종 경제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위클리 옵션은 해외선물로 빠져나간 국내 투자자를 유인하기 위해 2019년 9월 도입됐습니다.
기존 월물옵션은 만기가 한 달에 한 번 돌아오다보니 중간중간 발생하는 경제 이벤트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위클리 옵션은 두 번째 목요일을 제외하고 매주 목요일 만기가 돌아오기 때문에 기업 실적발표나 미국 FOMC 같은 경제 이벤트에 대응해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클리 옵션은 매주 상장되다보니 이런 위험에 노출됐을 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위험 관리가 가능한 거죠.
정부 입장에선 위클리 옵션이 조금 위험할 순 있어도 이벤트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투자자보호 장치가 충분히 마련됐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2011년까지 파생금융상품 거래 1위를 기록하던 한국 시장을 정부는 국민들이 도박과 같은 투기에 노출되어 있다며 대대적으로 규제에 들어갔고, 그 결과 한국의 파생상품 거래 순위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습니다.
부랴부랴 정부는 거래단위를 축소한 미니 선물,옵션을 도입하더니 위클리 옵션 처럼 카지노라고 해도 무방한 위험한 상품을 도입했던 것입니다.
<앵커>
위클리 옵션의 변동성이 얼마나 큰 겁니까?
<기자>
위클리옵션은 주가 변동에 따른 가격 민감도가 기존 옵션보다 5배 정도 높습니다.
옵션 가격은 내재가치와 시간가치로 결정되는데, 만기가 짧을수록 시간가치 변동폭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만기일 동시호가 때 가격 변화가 가장 큽니다.
실제 위클리옵션 만기일이었던 지난 4일 오후 3시 이후 5분 간격으로 차트를 보면 동시호가 때 그래프가 변동폭이 커지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위클리 옵션 투자자는 "이 구간에서 주로 손실이 발생한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옵션상품이 그렇듯이 원금을 초과하는 손실은 옵션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데요.
위클리 옵션이 월물옵션보다 변동성이 큰 만큼 옵션을 매도했다가 지수가 베팅한 방향의 반대로 갈 경우 손실폭이 무한대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증권업계 관계자 얘기를 종합하면 옵션 매도 포지션을 취했다가 반대매매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위클리옵션과 같이 파생상품에 투자하려면 일정 요건의 투자 자격을 갖춰야 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자격이 없는 개인들이 한탕만을 위해 불법에 뛰어들고 있다면서요?
<기자>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 하나 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한 사설업체의 선물옵션 계좌 대여 사이트인데요.
다년간 대여계좌 서비스 업무 경험을 갖고 있다며 계좌 대여를 위해 이름과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선물옵션에 투자하기 위해선 기본 예탁금 1천만 원 이상, 사전교육 1시간, 모의거래 3시간 등 요건을 갖춰야 합니다.
예탁금을 낼 능력이 없어 선물옵션 투자가 제한된 개인들을 대상으로 계좌를 대여해 주겠다며 버젓이 개인투자자를 유인하고 있는 겁니다. 금융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영업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투자자가 계좌 대여 업체에 1계약당 50만 원 수준의 보증금과 투자 원금을 입금하면, 업체는 이를 바탕으로 계좌를 개설해 대여해 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최근에는 업체들이 자체 HTS를 만들어 주문을 대리해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일부 업체는 투자자가 수익을 낼 때까지 기다리다 수익이 나면 HTS를 중단시키거나 잠적해 계좌를 폐쇄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행위는 모두 불법으로 계좌를 대여한 사람과 대여받은 사람 모두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실명제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인데요. 계좌는 오직 본인 명의로만 개설해 이용해야 하기 때문인데, 빌려준 업체와 대여받은 사람 모두 처벌 대상입니다. 이 경우 5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법으로 봤을 때도 위법 행위인 것은 마찬가지인데요. 선물옵션은 일정 자격을 갖춰야만 투자할 수 있는데, 비자격자가 투자를 한 꼴이기 때문이죠.
<앵커>
지금까지 살펴본대로 장내 금융상품인 위클리 옵션은 변동성이나 투기적 성격에서 현재 자본시장의 화두로 떠오른 CFD를 능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위클리 옵션 시장이 본래의 도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고 합니까?
<기자>
CFD 사태와 위클리 옵션 시장은 판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해외 선진금융상품이라며 적극적으로 도입을 주도했지만 투자자 보호를 비롯한 관리와 감독은 민간에 떠넘겨버렸다는 지적에서인데요.
전문가들은 위클리 옵션이 자본시장의 시한폭탄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투기적 쏠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현재 개인투자자들의 거래 특성을 보면 위클리옵션을 로또사듯 거래한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선 장내 시장 감시를 담당하는 한국거래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이성근, 양진성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