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엠폭스(원숭이두창) 확진자 증가 추세지만, 관련 의료제품 개발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이 개발해 허가받은 엠폭스 백신이나 치료제는 아직 없다. 엠폭스를 진단하는 키트도 정식으로 허가받은 제품은 없고 수출용 허가 제품만 2종 있는 상태다.
전날 질병관리청은 백신, 치료제, 진단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현재 방역대응 역량으로 엠폭스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미국 등에서 허가받은 원숭이두창 백신인 덴마크 제약사 바바리안 노르딕의 '진네오스'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보다 엠폭스가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하면 관련 의료제품을 확보하려는 각국 움직임도 빨라질 수 있어 국산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엠폭스 백신을 개발 중인 국내 업체로는 HK이노엔이 있다. HK이노엔은 질병관리청과 함께 테러대응용으로 2세대 두창(사람두창) 백신을 개발했고, 2008년 허가 후 비축 중이다.
이 회사는 최근 엠폭스가 확산하면서 사람두창용 백신을 원숭이두창용으로도 쓸 수 있을지 적응증(치료 범위)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다. 비임상 연내 완료가 목표다.
엠폭스 진단키트 개발 기업 중 수출용 허가를 받은 기업은 미코바이오메드와 에스디바이오센서다. 이외에도 씨젠, 바이오니아, 진스랩 등 기업이 키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만 허가에 필수적인 임상시험은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내 확진자가 적어 임상 대상자를 모집하기 어려워 임상 진행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임상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엠폭스는 코로나19와 달리 발진 등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증상도 있어 대유행 가능성이 낮은 만큼 기업이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을 거란 시각도 있다.
진단키트 업계 관계자는 "엠폭스 키트가 파이프라인에 있지만 구체적인 플랜은 나오지 않은 상태"라며 "증상만으로 의심이 가능하므로 사람들도 밀접 접촉하지 않아 코로나19보다 덜 유행할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