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블록버스터' 약물로 꼽히는 한 당뇨병 치료제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국내 제약사들이 앞다퉈 출사표를 냈습니다.
'제네릭'이라 불리는 복제약 시장에 뛰어든겁니다.
뛰어든 제약사만 70개가 넘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보도에 김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아스트라제네카의 블록버스터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
포도당의 재흡수를 막고, 소변으로 배출시켜 혈당·체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어 주목받았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3조가 넘는 매출을 올렸으며, 국내 시장에서도 약 485억 원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포시가의 특허가 지난 7일 만료되면서, 본격적으로 제약사들의 복제약(제네릭)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오리지널 의약품은 출시할 때 다른 회사에서 베끼지 못하도록 특허로 보호받는데, 특허가 만료되면 자유롭게 복제약을 만들어 팔아도 됩니다.
출사표를 낸 국내 제약사는 70곳 이상.
보령, 종근당, 한미약품, 동아에스티,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신풍제약 등 다양합니다.
문제는 복제약이다 보니, 똑같은 성분이라 약마다 차별점이 크게 없는 상황.
병원에서는 이미 '영업 경쟁'이 벌어졌다고 합니다.
[병원 관계자 : 제네릭 자체가 성분은 동일하니까, 사실 약가(가격)도 거의 비슷할거고요. 결국 영업력이 많이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죠.]
제약사들은 포시가와 다른 계열의 블록버스터 당뇨병 치료제 특허 만료도 목전에 뒀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라도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제약업계 관계자 : 올해 9월에 시타글립틴 물질 특허가 만료되고, 내년에 이제 리나글립틴, 2025년도에 엠파글리플로진까지 계속 연달아 만료가 되고 있는 상황이에요. 포시가 자체도 의미가 있지만 여기서 뚫어놓은 시장 거래처들이 후속 제품도 납입할 수 있는 거래처거든요.]
복제약은 오리지널 약에 비해 가격이 절반 이하로 저렴해, 환자들은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이용호 /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아무래도 약가가 환자들에게 중요한 부분이 있으니까요. 그런 부분에서는 제네릭 비율이 많이 올라가긴 할거예요.]
연구·개발(R&D)에 투입돼야 할 비용이 영업 활동에 쓰여 개발에 지장을 주는 일이나, 불법 리베이트 증가 가능성을 막는 건 제약사들의 숙제로 남았습니다.
한국경제TV 김수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