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말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취약차주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 등 제2금융권의 건전성이 연일 악화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과 업계는 아직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진단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릅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급격한 시장금리 상승으로 제2금융권의 건전성이 악화되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말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3.4%로, 전년보다 0.9%p 상승했습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의 비율도 전년보다 0.7%p 오른 4.1%를 나타냈습니다.
신협과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권의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저축은행업계보단 낮은 수준이지만 전년보다 모두 올랐습니다.
다만 업계는 법정 기준치 이상의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어 손실흡수능력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지난 저축은행 사태 직후인 2012년 저축은행업계 연체율이 20%를 넘어섰던 것에 비하면 현재 수치는 충분히 감당 가능한 수준이란 설명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연체율의 수준보다 '증가 속도'가 문제라고 꼬집습니다.
[이대기 금융연구원 실장 : 연체율이 증가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거에요. 현재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하지만, 절대 규모는 많지 않다 하더라도 (연체율)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저금리로 눌러져 있었던, 만기상환 연장과 이자 유예해줬던 것들이 이제 막 쏟아져 나오는 거죠. 연체율이 '지금은 이정도면 괜찮아' 하지만 몇달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는 거죠.]
제2금융권의 비중이 높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도 이 같은 부실 우려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보험사와 카드사 등을 포함한 제2금융권의 부동산PF 위험노출액은 115조5,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원대식 한양대 교수 : 문제는 시공사 크레딧(신용도)이 낮은 데가 문제일 것 같아요. 제2금융권들이 (PF대출을) 조금씩 한 것 같은데, 재료비가 상승하니까 책임준공하겠다고 했는데 포기해버린데요. ]
현재 저축은행업계와 새마을금고는 대주단 협의체를 구성, 자율협약 형태로 PF대출 부실 공동 대응에 나섰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이 장기화될 경우엔 이 역시도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