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04.09

  • 13.04
  • 0.50%
코스닥

761.60

  • 5.28
  • 0.70%
1/4

'허당' 챗봇에 망신당한 구글...직원들도 "급했다" 비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구글답지 않다. 장기적인 전망으로 돌아가라"
세계 최대 검색 엔진업체 구글이 챗GPT 대항마로 새 검색 엔진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바드`(Bard)를 발표하고 대중으로부터 혹평을 받은 것에 이어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0일(현지시간) 구글 내부 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인 `밈젠`(Memegen)에는 회사의 바드 발표에 대해 "급했다", "망쳤다"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챗GPT의 등장에 지난 6일 회사가 바드 출시를 서둘러 공식 발표하고, 이틀 뒤 시연회에서는 바드가 정답을 제시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새 검색 엔진 `빙`을 발표한 바로 다음 날인 8일 프랑스 파리에서 바드 기능을 시연했다.

`바드`는 이날 시연에서 "9살 어린이에게 제임스 웨브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JWST)의 새로운 발견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태양계 밖의 행성을 처음 찍는 데 사용됐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는 오답이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태양계 밖 행성을 처음 촬영한 것은 JWST가 아닌 2004년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 VLT(Very Large Telescope)이었다.

내부 사이트에는 일부 직원들은 이날 시연이 있는지도 알지 못했고, 한 발표자는 시연에 필요한 소품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비판은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도 겨냥했다.

한 직원은 회사의 대량 해고까지 언급하며 "친애하는 순다르에게, 바드 출시와 해고는 성급했고, 근시안적이었다"라고 썼다. 그러면서 "제발 장기적인 전망으로 돌아가라"라고 덧붙였다. 이 글은 다른 직원들로부터 많은 `좋아요`를 받았다.

다른 직원은 "피차이 CEO의 리더십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며 "그는 근시안적이고 구글답지 않았다"고 조롱했다.

또 다른 직원은 새가 얼굴을 가리는 듯한 사진을 첨부하며 "패닉 상태에서 바드를 시장으로 내몰면서 시장의 우려가 입증됐다"고 적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바드의 기능 시연 이후 이틀간 10% 넘게 급락했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