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반도체 생산 11% 급감·소비 석 달째 내리막…"경기약화 흐름 지속"

11월 산업생산 0.1%↑...5개월만에 반등
소비 1.8%↓, 설비투자 1.0%↑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1월 생산이 다섯 달 만에 소폭 반등했지만 반도체 생산은 10% 넘게 크게 줄었다. 소비도 석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다.

수출이 지난달까지 두 달 연속 줄어든 데 이어 내수까지 주춤하면서 경기 약화 흐름이 이어지고 불확실성도 커진 모습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산업 생산 지수는 115.3(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1%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7월(-0.2%), 8월(-0.1%), 9월(-0.4%), 10월(-1.7%) 넉 달 연속으로 줄다가 11월에 다섯달 만에 소폭 증가로 돌아섰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치료제 구입이 늘고 자동차, 기계장비가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전산업 생산이 증가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0.6%) 생산은 감소했지만 제조업(0.5%)을 비롯한 광공업생산이 자동차, 기계장비,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0.4% 증가했다.

그러나 반도체 생산은 11.0% 급감했다. 지난 8월 12.8% 감소 이후 3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반도체 가동률도 12.0%나 줄었다.

최근 . 반도체 수출은 지난 10월과 11월에 각각 1년 전보다 17.4%, 29.8% 감소했다.

어 심의관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정보기술(IT) 관련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라며 "중국 봉쇄조치 여파로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 수요가 둔화하면서 반도체 재고가 쌓이고 생산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 보다 1.4% 늘었고, 출하는 2.4%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율은 127.6%로 전달 보다 4.8%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점업(-4.0%) 등을 중심으로 0.6% 줄었다. 지난 9월(-0.1%)과 10월(-1.1%)에 이어 석 달째 감소한 것이다.

특히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지난해 12월(10.9%) 이후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10월 말 발생한 이태원 참사의 영향이 반영되며 대면 서비스 소비가 일부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전달 보다 1.8% 감소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감소하다가 8월 4.4% 반짝 반등했으나 9월(-2.0%), 10월(-0.2%), 11월(-1.8%) 석달 연속 내리막이다.

품목별로는 가전제품, 통신기기 등 내구재 판매가 1.4% 줄었고 의복 등 준내구재도 5.9% 감소했다.

투자의 경우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0% 늘었고 건설기성은 1.4%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7로 전월보다 0.7%포인트 내리며 7개월 만에 하락했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5월(-0.8p)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0으로 전월보다 0.2p 내리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어 심의관은 "공공행정, 광공업생산이 늘어 전체 생산이 증가 전환했지만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광공업생산도 호조라고 보기는 어려운 부진한 상황"이라며 "경기가 약화 흐름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증대되고 있어 수출 여건이 좋지 않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산업활동 전망에 대해 "글로벌 경기둔화, 반도체 경기하강, 금리 상승 등으로 수출·투자 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흐름이 제약되면서 향후 경기흐름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생산측면에서는 공급망 차질 완화와 중국 위드 코로나 정책 등 긍정적 요인도 있으나, 수출 감소세 지속, 반도체 재고누적,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여파 등이 향후 부담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소비와 투자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 긍정적 요인도 존재하지만, 반도체·부동산경기 하강, 여전히 높은 물가수준, 주요국의 통화긴축 불확실성 등이 리스크 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내년 위기극복과 경제 재도약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거시정책은 당분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되 경제상황을 고려해 신축적으로 운용하고 금융·부동산 시장 안정 및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