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2

FDA, "사후피임약 '플랜B', 낙태약 아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FDA, "사후피임약 `플랜B`, 낙태약 아니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일반적으로 `모닝 애프터`(morning after)라고 불리는 응급 사후피임약 `플랜B 원스텝`(PlanB One-Step)이 `낙태약`(abortion pill)이 아님을 분명히 하기 위해 포장 라벨과 복약설명서를 바로잡도록 했다.

FDA는 `플랜B`가 수정란의 자궁 착상을 막는다는 언급을 없애도록 했다고 AP 통신 등이 24일 보도했다.

이전의 복약설명서에는 `플랜B`가 수정란의 자궁 착상을 차단할 수도 있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낙태 반대 운동가들은 이를 근거로 `플랜B`가 낙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플랜B`는 황체 호르몬인 고농도의 레보노르게스트렐(levonorgestrel)로 임신 이전 단계인 난소에서의 난자 방출(배란)을 막거나 지연시킬 뿐이라고 FDA는 말했다.

따라서 이미 임신이 된 여성에게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임신이 이미 진행 중일 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따라서 `플랜B` 복용은 `낙태`가 아니라고 FDA는 강조했다.

포장 라벨과 복약 설명서의 변경은 `플랜B`를 낙태약(abortion pill)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라고 FDA는 밝혔다.

`플랜B`가 수정란의 자궁 착상이나 착상 후 임신의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으며 따라서 이 약으로 임신 중절은 불가능하다고 FDA는 설명했다.

성관계 때 1~2억 마리의 정자가 여성의 질과 자궁경부(자궁 입구)를 통해 자궁을 통과, 극소수가 나팔관에 도달하게 된다. 나팔관에 도달한 정자가 난자와 결합해 수정란이 되면 3~4일 후 자궁 속으로 이동, 수정 후 5~7일째에 자궁벽에 자리를 잡는다(착상). 수정란이 착상된 이후를 임신이라고 한다.

`플랜B`는 자궁 경부의 점액이 끈끈하게 만들어 정자가 이동하기 어렵게 한다.

FDA는 1999년 무방비 섹스(unprotected sex) 후 최장 72시간(3일) 이내에 `플랜B`를 사용하도록 처음 승인했다.

`플랜B`는 성관계 후 72시간 안에 복용하면 최고 89%까지 피임 효과가 있고 24시간 안에 사용했을 때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