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증권사의 단기자금 상황이 여전히 녹록치 않습니다.
정부의 채권시장 안정대책이 단기채권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데, 자금경색 위기에 놓은 중소증권사들은 높은 금리를 주고서라도 현금확보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보도에 홍헌표 기자입니다.
<기자>
증권사의 단기자금시장이 싸늘합니다.
한양증권은 지난달 24일 11.0%의 금리로 전자단기사채 90일물을 발행했습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도 지난 주 전단채 63일물 발행금리가 10.0%였습니다.
전자단기사채는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을 전자방식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기업이 1억 원 이상의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권입니다.
올해 초 증권사들의 전단채금리가 불과 1%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부동산PF 보다도 높은 두 자릿 수대 금리는 매우 이례적입니다.
단기자금시장 경색을 풀기 위한 여러 대책에도 여전히 녹록치 않다는 방증입니다.
신용등급 A2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ABCP 매입 프로그램인 `제2 채안펀드`에는 오늘까지 차환 만기를 앞둔 5개 증권사가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매입 프로그램 운영 기간인 내년 5월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A2 증권사의 보증물량은 총 1.5조 원으로 채안펀드(1.8조 원) 총 규모와 비슷합니다.
자금경색에 업황까지 악화되면서 중소형 증권사는 높은 금리를 주더라도 현금을 우선 확보해놓고 대비하려는 모습입니다.
또 유동성 확보를 위해 현대차증권과 한화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유안타증권은 지난달 단기차입금 한도도 늘렸습니다.
증권사들은 구조조정까지 실시하면서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단기자금시장은 당분간 불안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강승원 / NH투자증권 채권전략팀장 : 통계적으로 국채금리가 피크아웃하고 나서 1분기 후에 크레딧이 안정됩니다. 아직은 크레딧 시장의 안정이 요원한 상태입니다. 국채금리가 더 내려가고 그 다음에 시차를 두고 크레딧 쪽으로 자금이 이동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높은 금리로 자금을 끌어오는 것 자체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며,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정부의 추가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경제TV 홍헌표입니다.
뉴스